
최고의 교육도시 춘천시가 주최한 교육 특구 축제 ‘에듀포레스트 춘천 페스티벌’이 성황리에 열렸다.
시는 이번 행사로 시민 체감형 교육 정책의 방향성을 점검하고 지난 3년 간 교육 도시로서 거둔 교육 특구 지정, 생애주기별 교육 체계 구축 등의 성과를 시민들과 나눴다. 지난 5~6일 이틀 간 열린 행사는 시민 5,000여명이 방문했다.
행사 첫 날인 지난 5일에는 육동한 시장이 미래 교육 비전을 발표했고 ‘AI 시대, 춘천 교육이 나아갈 길’을 주제로 토크 콘서트가 열렸다.
육동한 시장은 이날 “춘천은 돌봄부터 평생교육까지 시민 모두가 다양한 배움과 진로를 찾는 학습도시로 나아가고 있다”며 “교육·취업·정주가 선순환하는 도시 모델을 춘천시가 실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토크콘서트는 박정수 교육도시위원장(이화여대 부총장), 김홍래 춘천교대 교수, 함영빈 춘천교육지원청 장학사, 이원학 강원연구원 박사가 참여해 지역 교육의 발전 방향과 글로컬 교육도시로의 가능성을 놓고 다양한 의견을 주고 받았다. 박정수 위원장은 “춘천의 교육 정책은 지역성과 미래지향성이 균형을 이룬 전국적 모델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또 이날 오후에는 미국 세인트존스대학 교수진과 지역 대학생들이 플라톤의 ‘동굴의 우화’를 주제로 토론식 고전 수업인 그레이트북스 세미나를 진행했다. 시는 그레이트북스 프로그램을 지역 초·중·고 5개 학교에 도입했고, 세인트존스대학과 협력을 강화해 튜터 양성 등에 나선다.
행사 기간 시청 로비와 대회의실에서는 AI·VR·드론 등 첨단 기술을 체험할 수 있는 에듀테크존, 16개 직업군을 소개하는 진로 체험존, 지역 대학과 기관 홍보 부스, 청소년 동아리 공연, 모바일 게임 대회 등이 이어졌다. 6일에는 과학커뮤니케이터 이선호씨가 ‘AI 시대 자녀교육 방안’을 주제로 특강을 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