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김병주 최고위원은 14일, 드론작전사령부가 최소 세 차례에 걸쳐 7대의 무인기를 북한으로 보냈다고 주장했다.
김 최고위원은 이날 국회 최고위원회의에서 "여러 관계자들의 제보에 따르면 드론작전사령부의 무인기 송출이 사실로 드러났다"며 "윤석열 정권의 외환 유치 정황이 사실로 드러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드론작전사령부가 북한으로 무인기를 보낸 시점을 2024년 10월 3일(2대), 10월 8일(4대), 11월 13일(1대)로 특정하며, 각 발사 당시의 상황을 설명했다.
김 최고위원은 10월 3일 새벽, 백령도 101대대에서 이륙한 두 대의 무인기가 평양을 지나 새벽 6시경에 복귀했다고 전하며, 그들의 목표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관저로 알려진 15호 관저 일대였다고 밝혔다.
이어 10월 8일 밤, 백령도에서 4대의 무인기가 발사되었고, 그 중 한 대는 복귀하지 않았다고 했다. 목표 좌표는 15호 관저 상공이었다.
또한 11월 13일에는 저녁 7시 반쯤 1대의 무인기가 발사되었고, 그 목표는 북한의 남포 해군기지였다고 설명했다.
남포에는 북한 잠수함과 호위함이 정박해 있는 주요 군사시설이 밀집해 있다.
김 최고위원은 "드론작전사령부가 3D 프린터로 전단 투하용 통을 제작하여 무인기에 장착했다"며 "이 프로젝트는 2024년 2월 '전투발전'이라는 명목으로 시작됐다"고 덧붙였다.
그는 "무인기를 활용한 외환 유치 행위가 지난해 2월부터 시작된 것과 마찬가지"라며, 특검의 빠른 수사가 필요함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경제는 타이밍, 수사 역시 타이밍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병기 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는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전쟁이 훨씬 더 가까워지고 있었던 것 같다"며 우려를 표했다.
이어 "국가와 정부의 존재 이유는 무엇보다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 일"이라며, "상황이 이 지경에 이른 지금, 국민의힘에서 '왜 사과만 하냐, 우리도 피해자'라는 말이 나오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