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화 이후의 대통령들은 왜 성공하고 실패했는가? 원주 출신 박성원(서울신문 논설위원) 작가가 신간 ‘대통령의 성공조건’을 통해 그 해답을 찾아간다.
박 작가는 30여 년간 동아일보와 서울신문에서 한국정치의 최전선을 취재해 온 언론인이다. 그는 이번 신간을 통해 노무현 정부부터 문재인 정부까지의 대통령 리더십을 분석하고, 오늘날 정치 리더십이 직면한 구조적 한계를 짚는다.
참여민주주의와 정치개혁을 추진한 노무현 정부와 실용주의 기조를 내세운 이명박 정부. 시장경제에 중심을 둔 박근혜 정부와 촛불 민심의 기대 속에 출범한 문재인 정부까지. 각 정권은 저마다의 명분과 철학이 담긴 아젠다를 내놓았지만, 이내 한계에 부딪혔다. 그들이 부딪힌 벽은 ‘리더십’이었다. 권위적 통치와 폐쇄적 국정 운영 앞에 한국 정치는 위기를 맞이했다.
신간은 한국정치의 위기를 ‘리더십의 구조적 불안정성’으로 진단했다. 흔들린 리더십은 대통령 개인의 실패이기 전에 한국 정치 시스템 전반이 빚어낸 구조적 실패였다. 권위적 통치와 폐쇄적 국정 운영의 구조적 관성을 끊어내야 한다고 주장하는 책은 설득과 조율을 중심에 둔 통합적 리더십을 제시한다.
저자는 대통령은 최고 명령자가 아닌 최고 설득자로서 존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각 정권의 정책적 실패를 통해 갈등을 완화하며 사회적 신뢰를 설계하는 대통령의 역할을 제시했다. 시민사회의 책임도 함께 묻는다. 다음 리더를 선택해야 하는 유권자, 국정운영의 방향을 고민하는 정책 실무자들에게 신간은 한국정치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다.
박성원 작가는 “국가든, 기업이든 리더십의 성공과 실패 사례를 복기해보는 것은 공동체와 조직의 미래를 위해 꼭 필요한 일”이라며 “오늘의 대한민국이 당면한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고민하는 분들께 작은 보탬이라도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전했다. 나남 刊, 388쪽, 2만3,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