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일보 모바일 구독자 280만
사설

[사설]바이오 국가첨단 특화단지 성공 조건, 차별화

강원특별자치도가 국가첨단전략산업의 핵심 축으로 자리매김할 절호의 기회를 맞았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춘천·홍천 일원 10개 단지를 ‘바이오의약품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로 지정한 이후 도가 이 특화단지의 실효적 육성을 위한 전략 수립에 본격 착수했기 때문이다. 최근 도와 강원테크노파크가 개최한 ‘강원 바이오 특화단지 통합지원체계 운영 및 육성 전략 수립’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는 이러한 움직임의 한 과정이다.

이번 용역은 정책 수립에 그치지 않고, 국내외 산업 동향 분석, 밸류체인 기반 실태 조사, 통합지원체계(BIMEC) 운영 전략, 전담조직 및 거버넌스 구성 등 총 4개 과업으로 구성돼 있어 매우 실질적이다. 특히 인공지능(AI) 기반 신약 후보물질 개발과 중소형 CDMO(위탁개발생산)의 전략적 육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에서 도의 산업 구조 전환과도 맞물린다. 그러나 ‘특화단지’라는 명칭이 말해주듯 단순한 기업 집적지가 아니라 강원만의 차별화된 바이오 산업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 이를 위해선 우선 특화단지를 중심으로 한 통합지원체계가 실효성을 가져야 한다. 이번 용역에서 추진하는 BIMEC이 협업 플랫폼을 넘어 창업부터 생산, 해외 진출까지 아우르는 전 주기적 지원체계로 기능해야 함은 물론이다. 도내 연구기관, 대학, 기업, 그리고 행정이 유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를 위한 전담 조직의 전문성과 권한의 뒷받침도 중요하다. 그리고 지역 맞춤형 산업정책 수립이 필요하다. 도는 지리적 여건상 수도권 대기업과는 다른 성장 방식을 지향해야 한다. 춘천의 바이오 연구 인프라, 홍천의 의료·헬스 산업 기반 등 지역별 강점을 살린 ‘다핵화’ 전략으로 분산과 균형을 동시에 추구할 때 시너지를 낼 수 있다. 창업기업과 중소기업 중심의 CDMO 육성은 인력 유입과 지역 고용 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유력한 수단이다.

인재 양성과 정주여건 개선도 필수적이다. 바이오 산업은 고도 기술을 요구하는 만큼 전문 인력이 핵심이다. 강원인재원과 지역 대학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청년층이 수도권을 떠나 지역에 정착할 수 있는 주거·문화·교육 인프라 구축도 병행돼야 한다. 기술 인재와 가족이 함께 머물 수 있어야 산업도 지속 가능하다. 여기에다 정부의 꾸준한 정책·재정 지원이 절실하다. 도가 국가 차원의 전략산업 특화단지로 지정된 만큼, 단발성 사업이 아닌 장기적 로드맵과 비전에 따른 예산과 제도적 뒷받침을 빼놓을 수 없다.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