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주의 강화가 다시금 지역경제에 어두운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 최근 강원연구원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이 15%의 상호관세를 부과할 시 강원특별자치도의 자동차부품 산업이 향후 3년 안에 대미 수출 물량의 최대 41%까지 감소할 수 있다는 충격적인 분석 결과가 나왔다. 이는 단순한 수출 위축 이상으로 도 주력 제조업의 기반을 흔들 수 있는 심각한 사안이다. 실제로 도는 1년간 전체 수출 중 약 15%를 미국 시장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 중 자동차부품은 면류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8,798만 달러에 달하는 수출 규모는 지역 내 기업들의 생존과 고용, 생산활동과 직결된 수치다.
관세 충격이 본격화되면 18개월 동안 1,148만 달러(약 160억원), 최악의 경우 3,625만 달러(약 507억원)의 손실이 불가피하다고 한다. 도의 자동차부품 산업은 그간 내륙 중소도시를 중심으로 성장해 왔고, 지역 일자리 창출과 제조업 생태계 유지에 핵심적인 역할을 해 왔다. 그러나 이번 관세 폭탄으로 이 산업의 구조적 취약성이 여실히 드러나고 있다. 제품의 기술력이나 브랜드 파워보다 가격 경쟁력에 의존해 온 탓에 고관세가 적용되는 순간 해외 시장에서의 경쟁력이 급속히 약화될 수밖에 없다. 더욱 우려스러운 것은 자동차부품의 경우 멕시코 등 대체 생산국가가 즐비하다는 점이다. K-푸드나 K-뷰티처럼 브랜드나 품질로 차별화가 가능한 품목과 달리 부품 산업은 조달 안정성과 가격이 구매 결정에 상당한 영향을 끼친다. 이로 인해 관세는 수출 감소가 아닌, 거래처 이탈이라는 더 큰 위험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현실을 직시하고 도는 지금부터라도 실질적인 대응책 수립에 나서야 한다.
우선 미국 시장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수출 다변화 전략이 시급하다. 동남아, 유럽, 중동 등 신흥시장을 겨냥한 마케팅 지원과 박람회 참가, 통상 사절단 운영 등이 병행돼야 한다. 그리고 기술 자립과 부가가치 제고를 위한 연구개발(R&D) 투자 확대가 필요하다.
단순 생산을 넘어 스마트 부품, 친환경 차량 부품 등 고부가 분야로의 전환이 모색돼야 한다. 특히 자동차부품 수출 기업이 밀집한 원주, 춘천 등 지역을 주축으로 인프라를 구축한다면 비용 구조 개선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정부의 역할이다. 대외 통상 마찰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적극 고려해 관세 피해가 예상되는 산업군에 대해 긴급 경영안정 자금 등 정책적 방패막을 마련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