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강릉 최악의 가뭄은 사전 예측에 실패한 참사로 평가되고 있다. 이에 국내 가뭄 위기 대응 시스템의 근본적인 개선이 요구된다.
이번 가뭄은 행정안전부 등 정부부처의 가뭄 예보·경보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서 상황이 더욱 심각해진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가뭄현황 등급은 ‘정상-관심-주의-경계-심각’ 등으로 구분되는데 정부는 강릉지역의 첫 제한급수가 시행된 지난달 14일 이후에도 강릉의 가뭄현황을 ‘경계’ 단계로만 분류했다. 21일이 지나서야 최고등급인 ‘심각’ 단계로 격상했다. ‘경계’ 단계는 관계부처 합동 TF 운영, 생활용수 비상급수 지원 대책 추진, 단계별 제한(운반) 급수 실시 등이 이뤄지는 반면 ‘심각’ 단계에서는 중앙안전재난대책본부 및 중앙사고수습본부 운영, 비상급수용 공공지하수시설 및 지하수관측정 활용한 용수공급, 기설치된 빗물이용시설 대체 수자원 적극 활용 등 가뭄대응이 더욱 강화된다.
정부는 강릉 가뭄을 사전에 예측하지 못했지만 피해 최소화를 위한 강력한 대응에 나섰다..
행정안전부는 1일 김광용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주재로 강릉 재난사태 선포 이후 첫 지역 가뭄 대책 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에서 군과 소방은 각 기관이 보유한 급수차량, 물탱크 등 장비·자원을 동원해 주요 상수원에 물을 추가 공급하는 방안을 검토했다. 소방은 이미 국가소방동원령을 발령해 전날까지 70여대의 소방차를 동원, 2,500톤을 공급했으며 향후 이를 지속적으로 확대 지원할 방침이다. 군은 400여대의 물탱크 차량을 동원할 예정이다.
환경부와 농식품부 등은 추가 수원 확보를 위한 인근 저수지 활용 방안과 함께, 댐과 해수 담수화 시설 설치 등 다양한 대책도 논의했다. 또 강릉 지역 가뭄 상황을 신속히 파악하고 현장에서 즉각 대응하기 위해 이날부터 '범정부 강릉 가뭄 대응 현장지원반'을 운영한다. 참여기관은 행안부와 환경·농식품·국방부, 소방청, 강원도, 강릉시, 한국농어촌공사 등이다. 현장지원반을 통해 관계기관이 함께 다양한 방식으로 물을 공급하고, 기부받은 병물을 배분하는 등 현장에서 직접 가뭄 상황을 관리한다.
김광용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정부는 물 부족으로 불편을 겪고 있는 강릉 시민을 위해 가용 인력과 장비를 총동원해 가뭄에 대응하고 있다"며 "국민 여러분께서도 물 나눔 운동에 관심을 갖고 적극 동참해 주시길 부탁드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