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특별자치도 내 주택 하자 관련 분쟁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11월까지 하자심사분쟁조정위원회에 접수된 강원권 공동주택 하자 심사 분쟁 사건은 125건으로 집계됐다. 40건이 접수된 2023년과 비교해 3배 이상 늘어난 규모다.
실제 도내에서는 부실시공 관련 민원이 속출하고 있다. 지난해 5월 입주를 마친 횡성의 한 아파트는 여전히 비가 올 때마다 누수가 발생하고 있다. 해당 아파트에 살고 있는 이모(26)씨는 “옵션으로 구매한 중문이나 화장대 서랍이 없어 주문한 경우도 봤다”며 “몇 가지는 금방 해결됐지만, 누수 문제는 여전히 걱정이 크다”고 말했다.
건설업계에서는 최근 자잿값 등 물가 상승 영향으로 공사기간을 단축하면서 부실시공을 부추기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공사현장이 인력난 심화에 따라 저숙련 고령층 근로자들과 외국인 근로자들로 채워지고 있는 점도 원인으로 꼽았다. 정부와 지자체는 시공 현장 점검 및 입주자 사전점검 등 대응책을 진행하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도내 한 건설업체 대표는 “아파트에 하자가 발생하면 건설사도 고객들의 신뢰를 잃고 분양 경쟁력도 떨어진다”며 “공사비를 최소화하면서 품질관리를 후순위로 미루지 않을 수 있는 제도가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