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일보 모바일 구독자 280만
문화일반

[살고 싶은 강원, 청년에서 답을 찾다]①일자리 찾아 떠나는 강원 청년

강원 청년 68.5% 일자리 부족해 지역 떠나
소규모 사업장, 저임금 노동 악순환 이어져
“정부와 지자체 협력으로 청년 유출 막아야”

◇강원특별자치도여성가족연구원이 도내 청년 1,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5년 강원 청년 실태조사’. 응답자의 68.5%는 강원특별자치도에 거주하고 싶지 않은 이유로 ‘일자리가 부족하다고 느껴서’라고 답했다.

올 상반기 2030청년 3,336명이 강원특별자치도를 떠났다. 저출생·고령화 시대로 접어든 강원은 ‘청년인구 유출’이라는 또 다른 난제를 직면했다. 청년 인구 유출을 막고 지역 소멸 위기에 대응해야 할 골든타임, 창간 80주년을 맞은 강원일보는 강원특별자치도여성가족연구원과 함께 강원 청년의 현실을 진단한다. 이번 기획보도는 청년들이 안정적으로 지역에 정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며, 강원 청년 정책의 미래를 그리는 계기가 될 것이다.


강원특별자치도 청년 10명 중 7명은 ‘일자리 부족’을 이유로 지역을 떠나고 있다. 단순히 일자리 수가 적은 데 그치지 않고, 양질의 일자리를 찾기 어렵다는 인식이 지역 청년 유출을 부추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여성가족연구원이 도내 청년 1,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5년 강원 청년 실태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68.5%는 ‘강원도에 거주하고 싶지 않은 이유’로 “일자리가 부족해서”를 꼽았다. 강원 청년의 경제활동참가율은 74.1%로 전국 평균(73.7%)보다 소폭 높았지만, 여전히 ‘일자리의 질’에서 만족하지 못한다는 반응이 주를 이뤘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도내 청년의 57.6%는 30인 미만 기업에 종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청년 고용은 소규모 사업장에 편중돼 있었다. 지난해 기준 도내 청년 근로자의 57.6%는 30인 미만 기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300인 미만 중소·중견기업에 속한 비율은 86.7%에 달했다. 규모가 작을수록 복지, 급여, 경력 성장 측면에서 한계가 크다는 게 청년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실제로 강원 청년의 연평균 근로 및 사업 소득은 2,285만 원으로 전국 17개 시·도 중 전국 17개 시·도 중 8번째로 낮았다. 서울(2,568만 원), 경기(2,564만 원)와는 약 280만 원 차이를 보였고, 인구 규모가 비슷한 충북(2,670만 원)보다도 400만 원 가까이 낮았다.

이러한 열악한 상황 속에서 강원 청년들이 체감하는 현실은 상당히 엄중했다. 원주의 한 중소기업에 재직 중인 김모(여·31) 씨는 “직원이 10명 남짓이라 업무분장, 휴일근무 등에 대한 규정이 명확하지 않지만, 마음에 들지 않으면 그만두라는 식이라 문제 제기를 하지 못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강릉에서 취업을 준비 중인 윤모(27) 씨 역시 “대기업이 아닌 중소기업·스타트업이라도 문화비, 교육비, 의료비 등의 복지를 제공하는 곳이 늘어나고 있지만, 도내에서는 찾기 힘들어 수도권 취업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무조정실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따르면 강원 청년의 근로 및 사업 연소득은 2,285만원으로 전국 17개 시·도 중 8번째로 낮았다.

전문가들은 청년 일자리 질 개선 없이는 인구 유출을 막기 어렵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번 연구를 담당한 허목화 도여성가족연구원 연구위원은 “청년 일자리의 양질화는 인구 유출 억제뿐 아니라 지역 산업 경쟁력 확보의 핵심”이라며 “지자체는 산업 유치와 확장에, 중앙정부는 장기근속 인센티브 등 개별 지원에 집중하는 다층적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