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하 국정자원) 화재 사태로 정부 전산시스템이 멈춰선 지 엿새째인 1일 복구율이 10%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정부는 전날 기준 공무원 약 130명,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관리 인력 570여명을 투입해 복구작업을 폈다.
복구 작업은 업무 영향도나 사용자 수, 파급도 등이 높은 1·2등급 시스템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 이에 따라 1등급 시스템 복구율은 전날 50%를 넘어섰다.
그러나 전체 647개 중 3분의 2가량 해당하는 3·4등급 시스템 복구는 상대적으로 후순위로 밀릴 수밖에 없어 전체 복구율도 큰 상승세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국민 불편함이 이어지고 있긴 하지만, 그나마 '정부24'와 무인민원발급기 등 민원서비스가 일부 정상화되며 큰 혼란 상황은 벌어지지 않는 것으로 정부는 보고 있다.
정부는 화재가 발생한 국정자원 5층 7-1 전산실 안에 있던 시스템 96개가 전소돼 재가동할 수 없는 만큼 대구센터의 민관협력 클라우드를 활용해 서비스 정상화를 추진한다.
이들 시스템이 정상화되기까지는 4주가량이 걸릴 것으로 정부는 예상했다.
행정안전부는 이날 국정자원 대전 본원에 화재 피해 복구를 지원하기 위한 현장상황실을 설치했다. 현장상황실은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을 실장으로 하며, 화재로 장애가 발생한 정부 시스템의 복구와 대구센터 이전을 지원한다.
또 국민 불편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유관기관과 협조해 차질 없이 장애 복구가 이뤄지도록 할 예정이다.
김 차관은 이날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현장에서 시스템 운영·복구 업체들과 상황 회의를 열고 신속한 복구를 위한 협조를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