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대학 재정지원 예산 집행권을 지방자치단체로 이관해 지역·대학 혁신을 지원하는 라이즈(RISE·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 사업이 올해부터 본격 시행됐지만, 핵심 역할을 하고 있는 라이즈 센터장의 자격·임기가 지역마다 제각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센터장 17명 중 10명은 대학·교육 관련 주요 경력이 없었다.
15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강경숙 조국혁신당 의원실이 전국 17개 시도로부터 제출받은 '라이즈 센터장 임명 현황'에 따르면, 현직 센터장 17명 중 대학·교육 분야 경력이 없는 센터장은 10명이다. 해당 지역은 강원을 비롯해 △서울 △경기 △광주 △대구(2명) △울산 △인천 △전남 △충북 △경남이다. 이들의 주요경력은 국회보좌관, 지자체 공무원, 정책연구원 등이다.
이처럼 연구나 교육 경력이 없는 인사가 센터장으로 임명된 것은 관련 임명 규정이 명확히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교육부가 지난해 공포한 '라이즈 운영 규정' 훈령에 따르면 '광역자치단체장이 지역 내 유기적 협력이 가능한 자를 각 지역 라이즈 위원회에 추천하고, 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임명할 수 있다'고 돼 있으나 구체적 기준은 명시돼 있지 않다.
신분과 임기도 제각각이다. 강원은 센터장이 지방공무원으로 내부 인사발령에 따른다며 별도의 임기를 정하지 않았고, 경남은 파견 공무원 신분으로 임기가 1년이다.
반면 센터장이 민간인인 경북은 출자출연기관 규정에 따라 임기가 2년, 대전·전북·제주·충남 등은 3년으로 제각각이었다. 연봉 역시 지방공무원 보수 규정, 상위기관 규정 등 저마다 다른 기준을 적용해 6,000만 원에서 1억 원까지 큰 편차를 보였다.
강경숙 의원은 "라이즈 센터장은 지자체 주도 대학지원 사업의 핵심 역할인데도, 교육부가 기초적인 준비도 없이 사업을 밀어붙인 결과 인사 체계의 미비함이 나타났다"며 "사업의 지속적·안정적 운영을 위해선 라이즈 센터장 역량에 맞는 전문가 중심의 인사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