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일보 모바일 구독자 280만
정치일반

‘웬치’ 범죄단지서 체포된 한국인 64명, 전세기로 국내 송환…역대 최대 규모

◇캄보디아 온라인 사기에 가담해 구금된 한국인들 탑승한 버스가 17일(현지시간) 캄보디아 프놈펜 인근 테초국제공항에서 송환을 위해 마련된 전세기로 향하고 있다. 한국인 64명을 송환하기 위해 경찰 호송조 190여명이 함께 탄 이 대한항공 전세기는 이날 오전 0시 30분께 다시 한국으로 출발해 오전 중 도착할 예정이다. 사진=연합뉴스
◇캄보디아 온라인 사기에 가담해 구금된 한국인들이 18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을 통해 송환되고 있다. 이날 송환에는 경찰 호송조 190여명이 투입됐다. 사진=연합뉴스
◇캄보디아 온라인 사기에 가담해 구금된 한국인들이 18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을 통해 송환되고 있다. 이날 송환에는 경찰 호송조 190여명이 투입됐다. 사진=연합뉴스

캄보디아에서 현지 범죄 조직에 가담한 혐의로 구금됐던 한국인 64명이 18일 오전 전세기를 통해 인천국제공항으로 송환됐다.

이들은 범죄단지 내에서 보이스피싱과 로맨스 스캠(사기) 등의 범행에 연루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을 태운 대한항공 KE9690편은 캄보디아 프놈펜 인근 테초 국제공항을 이륙한 뒤 약 5시간 20분 만에 오전 8시 35분께 인천공항에 도착했다.

한국 국적기 내에서도 법 집행이 가능한 국적법에 따라, 이들은 기내에 탑승하자마자 체포됐다.

공항에 도착한 피의자들은 모두 수갑이 채워진 상태로 경찰에 의해 관할 경찰서로 분산 압송됐다. 입국 수속까지는 약 1시간 20분이 소요됐으며, 현장에는 삼엄한 경계가 펼쳐졌다.

송환된 인원은 다음과 같이 분산됐다

▲ 충남경찰청 45명 ▲ 경기북부청 15명 ▲ 대전경찰청 1명 ▲ 서울 서대문경찰서 1명 ▲ 경기남부청 김포경찰서 1명 ▲ 강원 원주경찰서 1명.

이들은 대부분 반팔 상의에 모자와 마스크를 착용했으며, 취재진 질문에는 답하지 않고 고개를 숙인 채 준비된 호송 차량 23대에 나눠 탑승했다.

1명당 경찰관 2명이 양쪽에서 부축하는 방식으로 이동했으며, 전세기에는 총 190여 명의 경찰관이 동승했다.

일부 피의자는 휠체어를 이용하거나 A4 용지로 얼굴을 가렸고, 호송 장면을 지켜보던 한 보이스피싱 피해 추정 남성은 욕설을 퍼붓기도 했다.

현장에는 경찰 특공대원들이 소총을 든 채 배치됐고, 경찰 기동대와 공항현장대응단 인력 215명이 동원돼 철통 경비가 유지됐다.

경찰은 이들의 정확한 범죄 혐의에 대해 수사를 벌일 예정이며, 자발적인 가담 여부와 불법 인지 여부, 납치·감금 피해 여부 등도 함께 조사할 방침이다.

송환된 이들은 캄보디아 내 '웬치'라 불리는 범죄단지에서 활동하다가 현지 당국의 집중 단속에 적발됐다.

이 중 59명은 단속 작전에서 체포됐고, 나머지 5명은 스스로 범죄단지를 신고하고 구조를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상당수는 인터폴(국제형사경찰기구)의 적색수배 대상이었으며, 모두 한국에서 체포영장이 발부된 피의자들이다.

이번 송환은 단일 국가에서 한국인 범죄자를 대규모로 전세기로 이송한 세 번째 사례로, 역대 최대 규모다.

전세기에는 피의자 호송 외에도 의료 인력인 의사와 간호사가 함께 탑승해 비상 상황에 대비했다.

일반적으로는 피의자 1명당 형사 2명이 동행하지만, 이번에는 기준을 넘는 약 190명이 투입됐다.

◇캄보디아 온라인 사기에 가담해 구금된 한국인들이 18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을 통해 송환되고 있다. 이날 송환에는 경찰 호송조 190여명이 투입됐다. 사진=연합뉴스
◇캄보디아 온라인 사기에 가담해 구금된 한국인들이 18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을 통해 송환되고 있다. 이날 송환에는 경찰 호송조 190여명이 투입됐다. 사진=연합뉴스
◇캄보디아 온라인 사기에 가담해 구금된 한국인들이 18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을 통해 송환되고 있다. 이날 송환에는 경찰 호송조 190여명이 투입됐다. 사진=연합뉴스
◇캄보디아 온라인 사기에 가담해 구금된 한국인들이 18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을 통해 송환되고 있다. 이날 송환에는 경찰 호송조 190여명이 투입됐다. 사진=연합뉴스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