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척】고령화로 인한 농업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농작업 대행 서비스 도입이 필요하다는 제안이 눈길을 끌고 있다.
양희전 시의원은 28일 임시회 5분 자유발언을 통해, 고령 농업인의 노동력 부족이 심각해 모내기, 수확, 제초와 같은 기본 영농활동 조차 수행하기 어려워 농지를 포기하거나 임대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어, ‘농작업 대행 서비스’ 도입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양 의원은 고령·질병·인력 부족 등으로 농사에 어려움을 겪는 농가를 대신해 전문인력이 파종·재배·수확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이 제도는 홍천군과 전북 군산시, 충북 충주시 등이 시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삼척시가 농업기계 임대사업을 운영하고 있지만, 고령 농업인이 직접 농기계를 운전해야 하는 한계가 있어, 농기계 임대에 그칠 것이 아니라, 전문인력이 직접 영농작업에 대행하는 서비스 체계로 발전시켜야 한다는 주장이다.
또 이 제도가 정착된다면, 영세농민·신규 농민·여성농민·고령농의 부담을 덜고, 청년들에게는 새로운 일자리와 안정적인 소득기회를 제공할 수 있고, 나아가 농업을 배우고 경험을 쌓을 수 있는 토대가 마련돼 지속 가능한 농업인력이 육성될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양 의원은 “삼척시의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은 전체 인구의 31%로, 전국 평균 약 20%에 비해 현저히 높다”며 “여성 농업인들의 경우 육체적으로 힘든 작업을 전문인력이 대신함으로써 영농 참여율이 높아지고, 청년층에게는 농업이 안정적인 수익기반이자 미래산업으로 발전하고, 귀농·귀촌을 준비하는 이들에게 실질적인 유인책이 돼 지역 사회 활력을 불어넣고 삼척 농촌이 더욱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농업은 지역 공동체의 뿌리이자 문화 그 자체이며, 고령화로 인해 기반이 무너진다면 지역소멸은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며 “농작업 대행 서비스는 고령 농업인의 삶을 지키고, 젊은세대가 농촌에 정착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농업의 토대를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