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일보 모바일 구독자 290만
정치일반

2045년 강원, 인구 141만 명 전망… ‘노인 40% 시대’

[2045 강원특별자치도 미래보고서]③지역소멸편
초고령사회 진입 가속화… 산업혁신·체류인구 전략이 미래 가른다

강원특별자치도가 인구 절벽과 초고령사회라는 중대한 도전에 직면했다. 강원일보 AI 저널리즘랩이 분석한 ‘2045 강원특별자치도 미래보고서’에 따르면 강원도의 인구는 2016년 155만 8,000명을 정점으로 감소세로 전환됐고, 2045년에는 141만~150만 명 수준까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은 43.6%로, 도민 10명 중 4명이 노인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생산연령인구는 20년 내 35% 이상 줄어 지역경제 기반이 크게 약화될 우려가 있다며 구조적 전환이 시급하다고 경고했다.

■ 150만 명 붕괴 ‘초읽기’= 보고서는 최근 인구 감소 속도가 더 빨라지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2022년 6월 말 대비 2023년 6월 말에는 6,391명이 줄었으나, 2024년 같은 기간에는 7,151명이 감소했다. 출생아보다 사망자가 많은 ‘데드 크로스’ 현상이 고착화된 가운데 청년층의 수도권 유출이 겹치면서 감소세는 더욱 가팔라지고 있다. 강원연구원은 이 추세라면 2026년 초에는 인구 150만 명선 붕괴가 불가피하다고 내다봤다. 이는 지역 공동체 유지와 지방행정 서비스 제공의 기반을 크게 흔드는 신호로 평가된다.

■ 사회·경제적 충격=인구 구조의 변화는 사회 전반에 충격을 예고한다. 2045년 강원의 노인 인구는 약 65만 명으로 추산되며, 노인 돌봄과 복지 서비스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반대로 유소년 인구(0~14세)는 2022년 18만 명에서 2045년 11만 명으로 감소해, 학교 통폐합과 교육 인프라 축소가 불가피하다. 평균 연령은 2022년 49세에서 2045년 61세로 오르며, 지금의 40대가 맡던 ‘중간 연령층’의 역할을 60대가 떠맡는 시대가 온다. 이는 세대 균형이 무너지고 경제활동의 중심축이 고령층으로 이동하는 구조적 변화를 뜻한다.

■정주인구 넘어 체류인구 200만= 보고서는 이같은 위기 극복을 위해서는 단순 주민등록인구(정주인구)의 한계를 넘어, 관광·통근·교육 등을 포함한 ‘체류인구’ 개념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강원연구원은 유입·유출을 감안한 ‘순체류인구’ 개념을 도입해 강원이 200만 명의 체류 효과를 낼 잠재력이 있다고 분석했다. 이는 관광산업 활성화, 교통망 확충, 지역 일자리 창출 등과 맞물려 지역 활력 회복의 새로운 지표가 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산업구조 혁신과 양질의 일자리 △출산율 제고와 생활환경 개선 △고령친화 사회 구축을 핵심 전략으로 제시하며, 위기를 기회로 전환할 수 있는 정책적 결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한편 이 보고서는 정부 및 공공기관 자료는 물론 국제비교사례, 사회 인프라 관련자료 등 방대한 데이터를 일본에서 개발된 지역소멸 측정 기준인 마스다 히로야 방법론, 연령별·성별 인구 변화를 예측하는 코호트 요인법, 시나리오 분석법, GIS 기반 공간분석 등에 대입해 AI로 예측한 것이다.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