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간운영이 종료되며 사실상 폐업 위기에 놓였던 영월시외버스터미널이 막판 극적인 협상 끝에 최악의 상황은 피했다. 영월군이 시설을 임차해 직접 운영하는 ‘공영버스터미널 체제’로 전환된 것이다. ▼그 과정은 길고 복잡했다. 행정이 조금만 더 일찍 움직였다면 임시 시외버스정류장 조성 등의 혈세 낭비는 막을 수 있었다는 아쉬움이 남는다. 그동안 군과 터미널 운영사 측은 수차례 협의를 이어 왔지만 합의점에 이르지 못했다. 결국 군은 폐업 공백에 대비해 서부시장 제2공영주차장에 임시 시외버스정류장을 급히 조성했다. ▼군과 영월시외버스터미널 운영 주주들이 지난 29일 2년+2년 임대 및 향후 매수 계약에 최종 합의하면서 상황은 반전됐다. 운영사 측은 소송을 포함한 모든 절차를 포기했고, 군은 공공성 유지를 전제로 직접 운영을 맡기로 했다. 이번 사태는 시설의 운영 문제가 아니다. 행정의 대응 속도와 책임감, 그리고 공공의 신뢰를 시험한 사건이었다. 교통은 지역민의 일상과 생계, 상권이 맞닿은 생활 인프라다. 행정의 대처가 늦어지면 그만큼 주민의 불편은 커진다. 이번에도 마찬가지였다. 조금만 더 신속한 협의와 조율이 있었다면 ‘임시 정류장’이라는 비효율적인 대책은 필요 없었을 것이다. ▼“공무원이 열심히 하면 국민이 편하고, 공무원이 일을 게을리하면 국민이 힘들어진다.” 익숙한 말이지만, 민간과 공공의 이해가 엇갈릴 때 행정은 중재자가 아니라 해결사로 나서야 한다. 규정과 절차를 이유로 미루는 사이, 군민의 발은 묶이고 상권은 침체된다. 이번 합의로 ‘교통 공백’이라는 최악의 위기는 면했다. 행정은 위기를 사전에 예측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체계를 만들어야 한다. 공공성은 선언이 아니라 실천에서 증명된다. 이번 영월시외버스터미널 폐업에 따른 여러 가지 상황들은 행정이 얼마나 빠르고 책임 있게 나서야 하는 지를 보여주는 듯하다. 영월군이 군민과의 신뢰를 다지고, 현장을 먼저 살피는 행정으로 거듭나길 바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