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일보 모바일 구독자 290만
정치일반

국힘, 최민희 '딸 결혼식 논란 사과'에 "공직자의 권한과 지위를 사적 금품 수수의 통로로 전락시킨 권력형 비리"

◇30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종합감사에서 최민희 위원장이 국민의힘 박정훈 의원의 사퇴 요구 발언을 듣고 있다. 2025.10.30 사진=연합뉴스
◇30일 서울 여의도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종합감사에서 최민희 위원장이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2025.10.30 사진=연합뉴스

속보=더불어민주당 소속 최민희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이 국정감사 기간 중 국회에서 치른 딸의 결혼식에서 받은 부적절한 축의금 논란에 대해 국민의힘은 31일 "어물쩍한 사과로 끝낼 일이 아니라 지금 당장 과방위원장직을 사퇴하라"고 촉구했다.

최은석 원내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최 의원 이 딸의 '권력형 결혼식' 논란에 대해 뒤늦게 사과했지만, 국민을 우롱하는 형식적 사과에 지나지 않았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최 의원 건은 더 이상 단순한 도덕 논란이 아니라 이미 명백한 범죄 의혹으로 비화하고 있다"며 "최 의원은 자녀 혼사를 명목으로 총 8명으로부터 모두 800만원의 금품을 받은 혐의로 고발된 상태다. 공직자의 권한과 지위를 사적 금품 수수의 통로로 전락시킨, 전무후무한 권력형 결혼 비리"라고 비판했다.

최 원내수석대변인은 "이제는 여론의 추이를 살필 때가 아니라 법의 심판대 앞에 겸허히 서야 할 때임을 자각해야 한다"며 "국민 앞에 즉각 사퇴를 선언하는 것이 마지막 남은 공인의 양심"이라고 강조했다.

◇국정감사 기간 딸 결혼식으로 논란을 빚은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인 더불어민주당 최민희 의원이 26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축의금과 관련한 텔레그램 메시지를 보고 있다. 대기업, 언론사 이름과 금액이 적혀 있는 이 메시지는 최 위원장이 축의금을 돌려주는 과정 중 보좌진과 주고받은 내용으로 추정된다. 2025.10.26 사진=연합뉴스

앞서 최 의원은 전날 과방위 국정감사를 종료하면서 딸 결혼식과 MBC 보도본부장에 대한 퇴장 조치를 둘러싼 논란에 대해 "국민 여러분께 사과드린다"며 "이런 논란의 씨가 없도록 좀 더 관리하지 못한 점이 매우 후회되고 아쉽다. 제 잘못"이라고 사과했다.

그는 "돌이켜보면 혼인 당사자의 계획에 따라 올 가을이 적합한 일정이었다고 하더라도 여타 논란이 생길 것을 미리 예측하고 부조, 화환 등을 막는 좀 더 적극적인 사전 조치를 해야 하는데 왜 그러지 못했을까 자책하며 국민과 민주당 위원님들께 죄송하게 생각한다"고 고개를 숙였다.

그러면서 딸 결혼식과 관련된 여러 논란에 대해 "너무나 터무니없는 허위의 주장에 대해서는 기록의 차원에서라도 남겨 둬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우리 딸이 결혼식을 두 번 했다는 주장은 터무니없는 얘기", "(국회) 예약 과정에 특권을 행사했다는 것도 사실이 아니다", "과방위 유관기관에 청첩장을 보낸 사실이 없다"라며 조목조목 반박했다.

그는 또 과방위 행정실 직원들에 딸 결혼식 청첩장을 준 것에 대해서는 "시간 되면 밥 한 끼 먹으러 오라는 것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라고, 모바일 청첩장 상에 들어갔다가 삭제된 카드 결제 기능에 대해서는 "업체로부터 받은 양식인데 주의 깊게 보지 않았다"고 각각 해명했다.

최 위원장은 자신이 최근 결혼식 논란을 해명하면서 '딸이 주도했기 때문에 날짜를 얘기해도 제가 까먹어서 딸로부터 꼭 참석해달라는 요청을 받았다'고 말한 것에 대해 "그 날짜, 그 시간이 인지되지 않았다고 표현한 것"이라고 했다.

이에 앞서 MBC에 대한 비공개 국감 중 MBC 보도본부장을 퇴장 조치한 것에 대해선 "MBC 비공개 업무보고 때 답변을 안 하겠다는 태도를 보고 '그러려면 나가라'고 한 것은 과했다는 것을 인정한다"며 MBC 대주주인 방송문화진흥회 이사장에게 사과한다고 말했다.

또 자신에 대한 비판 보도를 차단할 수 있는지를 자기 측 인사가 피감기관인 방송통신심의위에 문의했다고 한 언론 보도에 대해서는 "우리 비서관이 어떤 절차를 통해 해결할 수 있는지 단순히 문의했다고 한다"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이게 피감기관에 대한 갑질이라면 (이유를) 알고 싶다"며 "이게 왜 방심위 사유화인지 알 길이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당시 인터넷신문의 유튜브 채널 보도에 대해 "비판 보도가 아니라 명백히 허위·왜곡보도였다"며 "구분해달라"고도 했다.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