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한 희생과 헌신에는 그에 걸맞은 보상이 따를 수 있도록 정부 차원에서 뒷받침하겠다.” 이재명 정부의 국정 철학 중 하나다. 올 9월 ‘강원 타운홀 미팅’에서 대통령은 강원도민에 대한 보상을 언급했다. 강원도에 살고, 접경지역 인근이라고 해 ‘악성 운명’을 짊어졌다고 생각하지 않게 정부에서 배려를 하겠다고 했다. ▼금주 초 국회도서관에서 열린 ‘2025 접경지역 발전전략포럼’에서도 이 문장이 다시 한번 강조됐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특별한 희생에는 특별한 보상이 필요하다는 이 대통령의 말이 지극히 상식이지만 그동안은 좀처럼 통하지 않았다”고 했다. 노력한 청년에게는 합격과 취업이라는 보상이, 열심히 일한 사람에게는 보수와 휴가가, 불의의 사고로 희생된 이들에게도 충분한 위로와 공감이 있어야 했지만 그간 불공정한 경우도 많았다는 점을 강조한 워딩으로 해석된다. 포럼에 토론자로 참석한 인제군수 역시 접경지역에 대한 보상을 말했다. 그는 “아직도 고속도로가 없는 접경지역 시·군이 많고, 연결도로 확장은 하세월이다. 접경지역은 산업 기반 부족으로 예비타당성 조사 과정의 비용편익분석(B/C)에서 불리하므로 해당 항목 적용을 제외시켜야 한다”고 역설했다. ▼다음 날 지역구 도의원도 의회에서 인제군 정자리 관광단지 조성사업 추진 과정을 예로 들며 생태·자연도 등급 제한에 묶여 2021년 민간업체와 MOU 체결 이후 첫 삽조차 뜨지 못했다며 규제 완화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이처럼 정치권 곳곳에서 강원도민 희생에 대한 적절한 보상이 이뤄져야 한다는 여론이 들불처럼 퍼지고 있다. ▼강원특별자치도는 고령화 지역이다. 더 이상 나이 든 노모가 감자와 옥수수를 수확해 서울의 아들 집으로 보내주는 희생과 소멸의 아이콘으로만 남아서는 안된다. 도를 미래 산업과 글로벌 관광의 중심지로 거듭나게 하겠다는 대선 공약, 대한민국 안보를 위해 발전에서 소외됐던 희생에 대해 응당한 특별 보상을 해 주겠다는 타운홀 미팅의 약속들은 꼭 지켜져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