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일보 모바일 구독자 290만
지역

문성근·김태희 "사북사건 국가폭력 사과해야"…영화인 318명 성명

영화 1980 사북 개봉을 계기로 영화인들 한 목소리
국가 폭력 사건에 국가의 공식 사과와 구제 조치하라…

사북 항쟁을 모티브로 한 박봉남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 ‘1980 사북’ 개봉을 계기로 영화인들 사이에 사북 사건 재조명과 국가 사과를 촉구하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곽용수 한국시네마테크협의회대표를 비롯한 배우 문성근·김태희, 영화감독, 작가, 제작자 등 영화인 318명은 19일 1980년 사북에서 벌어진 국가폭력 사건에 대해 정부의 공식 사과와 직권 조사 등 필요한 구제조치를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영화인들은 이날 성명을 통해 “내란수괴 전두환의 계엄시기였던 1980년 4월 강원도 사북 탄광촌에서 신 군부가 광부와 그 가족들에게 자행한 국가 폭력은 참혹했고, 피해자들의 고통은 현재도 계속되고 있다”며 “사건의 발단과 악화, 은폐 모든 국면에 국가폭력이 행해졌는데도 정작 핵심 당사자인 국가는 피해자들에게 손 한 번 내민 적이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고 안타까워 했다.

이어 “반세기에 가깝도록 침묵 속에 묻혀 있던 사북사건 피해자들의 억울함을 해소하기 위해 뒤늦게 국가의 책임을 묻는다”며 “사북에서 벌어진 국가 폭력에 대해 정부가 당사자와 국민 앞에 사과하고, 피해자 명예 회복과 구제를 위한 법적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라”고 주장했다.

백재호 한국독립영화협회 이사장은 “이번 영화인 성명은 영화를 통해 확인한 사북 광산 노동자 가족들의 억울함을 조금이라도 함께 하려는 영화인들의 마음”이라며 “영화계는 국가의 사과와 적절한 조치가 이뤄질 때까지 지속적으로 목소리를 내고 연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사북사건은 1980년 4월 정선군 사북읍 동원탄좌 탄광 근로자들이 열악한 근무환경과 저임금 등에 항의해 벌인 파업이 경찰과 대치하는 과정에서 대규모 폭력 사태로 확대된 사건으로, 2008년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는 당시 계엄사령부 합동수사단이 200여명의 주민을 장기간 불법 구금하고 고문 등 가혹 행위를 한 사실을 인정하고 국가 사과와 피해자 구제를 권고한 바 있다.

◇1980년 4월 22일 동원탄좌 정문 앞에서 시위하는 광부와 부녀자들(사진 제공:영화사 느티)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