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홈경기 개최지 입찰공모 논란과 춘천시장 경기장 출입 통제 등으로 '도민 화합'이 흔들렸다는 지적이 나왔다. 향후 강원FC가 대대적인 쇄신을 통해 영동·영서 간 분열을 봉합해야 한다는 의견이 강원특별자치도의회에서 제기됐다.

9일 도의회 제340회 임시회 1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에 나선 이승진(더불어민주당·비례) 도의원은 “춘천시의 경쟁 입찰 불참으로 내년 시즌은 강릉에서만 홈경기가 열리게 됐다”며 “‘Great Union’ 정신을 알고도 김병지 대표의 전횡을 방관하고 옹호할 수 있냐. 이 사태를 침묵, 방관, 옹호하는 구단주와 이사회의 책임을 다시 한번 상기시기고 싶다”고 말했다. 이어 김 대표의 춘천시 폄훼 논란, 진정성 없는 사과, 도청의 김 대표 계약서 사본 비공개 등도 문제로 지적했다.
이에 대해 강원FC는 “강원FC는 분산 개최를 전제로 공모를 진행했다는 점을 누누이 강조했으며, 개최 신청을 하지 않은 장소에서 구단이 강제로 경기를 열 수는 없다”며 “돈을 더 많이 낸 지자체에서 홈경기를 개최하겠다고 언급한 적도 없다”고 입장을 밝혔다.

한편 김정수 도의회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스포츠는 지역민의 화합과 공동체 의식을 높이는 소중한 장임에도 불구하고 강원FC를 정치적 이해관계로 변질시키려는 더불어민주당의 행태는 용납되어서는 안 된다"며 "도민 뜻과는 무관하게 반복되고 있는 춘천시장의 불통 행정은 즉각 중단되어야 한다"고 의견을 밝히기도 했다.

국정과제 중 북극항로에 선제적인 접근을 위한 정책 제안도 나왔다. 최재석(국민의힘·동해) 도의원은 “북극항로가 국가 경제발전의 중요한 축을 담당하게 되는 만큼 동해항 신항의 4번 선석을 화학공업생산품 부두로 변경한 것도 북방교역 시대에 대비한 포석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임미선(국민의힘·비례) 도의원은 "의료용 주사기가 들어 있는 외계인 여드름 짜기같은 제품은 만 13세 이하 어린이들도 쉽게 구입할 수 있지만 '만 14세 이상 사용' 표기 하나로 모든 안전 규제를 무력화시키는 현행 '어린이제품 안전 특별법'은 즉시 개정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기하(국민의힘·동해) 도의원은 "오랜 기간 군사적 요충지 기능을 해왔던 동해시를 비롯한 동해안 지역도 '접경지역 지원 특별법'의 접경지역에 포함돼야 한다"고 말했다. 박대현(국민의힘·화천) 도의원은 "2024년 레고랜드 재무제표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개장 3년 만에 자본잠식에 빠졌다"며 새로 구성되는 알펜시아-레고랜드 특위를 통해 관계자들의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