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보=갯벌에 고립된 중국 국적의 70대 남성을 구하기 위해 구명조끼까지 벗어주고 순직한 인천 해양경찰서 영흥파출소 소속 고(故) 이재석(34) 경사와 함께 사고 당시 당직을 섰던 동료들이 해경 내부에서 진실을 은폐하려는 시도가 있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15일 인천 동구의 장례식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사건과 관련된 진실을 밝히기 위해 입을 열었다.
동료들에 따르면, 영흥파출소장으로부터 사건에 대한 함구 지시를 받았다고 한다. 이들은 "파출소장이 부하 직원들에게 '이 경사를 영웅으로 만들어야 하니 사건과 관련해 아무 말도 하지 말라'고 지시했다"고 밝혔다.

또한, "유족을 만나면 눈물을 흘리며 아무 말도 하지 말고 조용히 있어 달라는 지시도 있었다"고 주장했다.
사건 발생 직후, 파출소장은 이 경사가 구조되어 응급실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팀원들과 비상 소집된 다른 팀원들을 모은 뒤, 인천해경서장의 지시 사항을 전달했다고 동료들은 말했다.
그들은 "당시의 왜곡된 사실을 바로잡고, 진실을 밝히기로 결심했다"고 덧붙였다.
이 경사와 당시 당직을 함께 섰던 한 팀원은 "서장과 파출소장이 이 경사의 지인에게 '어떤 관계냐'고 물은 뒤 '유족에게는 어떤 말도 하지 말라'고 지시했다"고 주장했다.

사고 당시 파출소 근무자는 총 6명이었고, 이 기자회견은 사고 발생 당시 휴게시간을 갖고 있던 동료들이 진행한 것이다. 동료들은 당시 팀장이 신속히 대응하지 않아 구조가 지연되었으며, "팀장이 휴게시간을 마치고 복귀한 후에도 이 경사의 상황을 전혀 공유하지 않았다"며 "몇 분 뒤 드론업체로부터 신고를 받고 상황의 심각성을 인지했다"고 말했다.
해양경찰청은 유족에게 CCTV, 무전 녹취록, 드론 영상 등 가능한 모든 관련 자료를 제공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진실 은폐 의혹에 대해서는 인천해경서장이 이를 전면 부인하고 있으며, 서장은 "모든 의혹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이번 사고는 지난 12일 새벽 2시 7분, 드론 순찰을 하던 업체가 갯벌에 사람이 앉아 있는 모습을 확인한 후 파출소에 연락하면서 시작됐다. 이 경사는 혼자 현장에 출동해 구조 작업을 벌였고, 발을 다친 A씨를 구조하는 과정에서 물이 허리까지 차오르자 부력조끼를 벗어서 건네고 순찰 장갑을 신긴 뒤 구조를 이어갔다. 그러나 육지로 이동하던 중 실종됐고, 6시간여 만에 숨진 채 발견됐다.
한편, 해양경찰청의 훈령에 따르면 순찰차 탑승 인원은 2명 이상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나, 사고 당시 2인 1조 원칙이 지켜지지 않았고, 이 경사는 구조 과정에서 추가 인원을 요청한 바 있다.
무전 기록에 따르면 이 경사는 오전 2시 16분 처음으로 파출소와 교신하며 “꽃섬에 혼자 있는 요구조자가 상의를 탈의한 채 주저앉아 있어, 직접 가서 이탈시켜야 할 것 같다”고 상황을 보고했다.
첫 무전 26분 후인 오전 2시 42분, 그는 다시 “요구조자를 확인했고, 입수해서 접근해야 할 것 같다”고 현장 상황을 전했다.
이어 수심을 묻는 질문에 “좀 있어 보인다”고 답했고, 추가 인력이 필요하냐는 질문에는 “물이 차오르고 있어 조금 필요할 것 같긴 하다”면서도 “일단 제가 한번 들어가 보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파출소 담당 팀장은 “서(인천해경서)에 보고하고 (자는 직원) ○○을 깨워 함께 대응하자”고 제안했지만, 이 경사가 “일단 요구조자를 만나러 가보겠다”고 하자 추가 조치 없이 그대로 현장 대응이 이뤄졌다.
이 경사는 오전 2시 56분 마지막 무전에서 “요구조자가 발을 다쳐 거동이 어렵다며, 구명조끼를 벗어주고 이탈시키겠다”고 말했고, 당시 수심은 허리 높이로 차오른 상황이었다. 그러나 이 시점까지도 지원 인력은 투입되지 않았다.
이후 약 17분 동안 무전이 끊겼고, 오전 3시 14분이 되어서야 파출소 측은 그의 이름을 부르며 “교신 가능하면 아무 때나 연락해봐”라고 무전했다.
다른 영흥파출소 직원들은 오전 3시 9분께 드론업체의 “물이 많이 차 있다”는 지원 요청을 받고서야 현장으로 향한 것으로 확인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