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일보 모바일 구독자 280만
정치일반

[선택 6·13지선 D-72]여야 도당 기초의원 공천 전략짜기 골몰

민주당 - 146명 뽑는데 137명 지원… 심사 미루며 후보검증 심혈

한국당 - 보수정당=당선 공식 불투명… '정수 - 1' 방식 확대 관측

6·13 지방선거 공천 작업에 돌입한 여야 도당이 시·군의원 공천 숫자를 놓고 치열한 눈치싸움을 하고 있다. 중선거구제 형태의 기초의원 선거 특성에 맞춰 '선택과 집중' 전략을 펼치려는 것이다.

더불어민주당의 도내 기초의원 경쟁률은 1대1에도 못 미친다. 146명의 지역구 의원을 뽑는데 1·2차 공모에 모두 137명이 지원했다. 역대 시·군의원 선거에서 월등한 우세를 보였던 자유한국당 경쟁률도 1.2대 1로 별 차이가 없다. 단순히 숫자만 보면 사실상 지원자 대부분을 공천할 수 있다. 실제 과거 새누리당과 한나라당 등 보수 정당들은 대부분 시·군의원 정수에 맞춰 공천자를 냈다. 완승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번에는 사정이 다르다. '보수정당 공천=당선'이라는 공식이 불투명해졌다. 각 정당이 여러 명의 후보를 공천하고, 상위 득표순위에 따라 당선자가 결정되는 중선거구 특성상 전략적 선택이 필요해진 것이다. 자유한국당 도당 공천관리위원회가 기초의원 공천을 심사숙고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일각에서는 2014년 지선에서 춘천에 적용했던 'n(정수)-1' 공천이 이번에 더욱 확대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더불어민주당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지방선거에서만큼은 도전자 입장이기 때문에 전략적 공천에 더욱 공을 들이는 분위기다. 당초 3~6일 시장·군수 및 도의원 공천신청자들과 함께 진행할 예정이었던 기초의원 면접심사는 다음 주로 연기했다. 시·군의원 공천신청자들을 좀 더 면밀히 살펴보자는 취지다. 도당 공천관리위원회는 자유한국당은 물론 바른미래당, 정의당, 무소속 후보들과의 대결구도까지 염두에 두고 있다.

기초의원 선거의 최대 변수로 꼽히는 '가나다' 기호 배정 방식도 관심사다. 과거 일부 지역에서 제비뽑기 등으로 기호가 배정돼 공천자들의 불만이 속출했었다.

원선영기자

관련기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