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일보 모바일 구독자 260만
정치일반

허영 "올해 전국 지방채 규모 8조5,000억원…지역 홀대하는 나쁜 정권"

"과거 정부 지방재정에 대한 보전 방안 마련했는데 이 정부는 대책 없어"

(서울=연합뉴스) 김주성 기자 = 9일 오전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 민생경제회복단 주최로 'R&D 정상화를 위한 입법 및 정책과제' 현장간담회가 열리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와 허영 민생경제회복단장, 신명호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책임연구원, 카이스트 졸업식 '입틀막' 당사자였던 신민기씨 등 참석자들이 10대 정책과제가 적힌 대형 피켓을 들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전국 지방자치단체가 올해 발행할 예정인 지방채 규모가 8조5,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돼 재정 운영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됐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간사인 더불어민주당 허영(춘천갑) 의원이 9일 행정안전부로부터 각 지자체가 지방의회 의결을 거쳐 확정한 지방채 발행 규모를 취합·제출받은 결과 243곳 지방자치단체 중 전체 20%에 해당하는 47곳이 지방채 발행 계획을 확정지었다. 전체 규모는 8조4,793억원이었다.

허 의원은 정부가 지방교부세와 지방교육교부금을 미교부하면서 지방정부가 어려운 지방재정 여건에도 시급히 추진해야 할 사업을 위해 지방채 발행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허영 의원은 "이마저도 안정적인 공공자금의 지원을 기대하기 어려운 형편"이라며 "정부가 지방채 인수방안을 적극 강구하겠다고 밝혔지만 현재로선 공염불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또 "과거 정부는 지방소비세를 신설하고, 지방소비세 비율을 상향하는 등 지방재정에 대한 보전 방안을 마련했는데 이 정부는 아무 대책도 없이 어려운 지자체에 그 모든 부담을 다 넘기고 있다'고 질타했다.

강원자치도 부채 규모는 행안부 자료에 따르면 1,700억원 수준이었다. 다만 강원도는 "예산 편성을 위해 부족한 부분을 충당하기 위한 지방채가 아니라, 도민들이 자동차를 구입하거나 지자체와 공사 계약 등을 체결할 때 구입하는 지역 개발 채권이어서 5년 이후 돌려받는 개념"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민생경제회복단장을 맡고 있는 허 의원은 국회에서 간담회를 열고 "정부가 올해 R&D 예산 29조6,000억원이 역대 최대 규모라고 자화자찬하지만, 이는 삭감 이전인 2023년 예산 대비 1.4% 증액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