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일보 모바일 구독자 280만
지역

춘천 대학생 전입 1년 새 63% 감소 곤두박질…전입 장려금 재도입 검토

새 학기 대학생 전입자 전년 대비 649명↓
1년 새 전입·전출 역전 상황 벌어져
사망 높아 자연감소 거센 만큼 인구 유지 균형 위기
춘천시, 조례 제정 통한 전입 장려금 재도입 검토

◇춘천시청 전경. 춘천시 제공

【춘천】 전입 장려금이 폐지된 후 새 학기를 맞은 지난 3~4월 춘천지역 대학생 전입 인구가 지난해 대비 6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의회가 실효 논란을 들어 지난해 10월 지원 조례를 폐지, 인구를 지탱하던 단기 유입책이 하루 아침에 사라졌지만 여전히 대안이 마련되지 못했다.

■발등의 불 끌 대책 없다=지난 3~4월 춘천의 대학생 전입 인구는 527명을 기록했다. 전입 장려금이 지급되던 지난해 같은 기간 1,176명과 비교하면 649명(63%)이 줄었다.

올 들어 4월까지 춘천은 사망자가 출생아를 앞지르는 자연 감소로 334명, 타 지역 전입·전출 등 사회적 요인으로 인구 332명이 순감소 했다. 하지만 지난해 1~4월 인구는 자연 감소가 305명으로 올해와 비슷했지만 타 지역 전입·전출은 558명이 늘어 반대 상황이 펼쳐졌다. 기간을 넓혀 봐도 춘천의 자연적 인구 감소는 지난해 943명, 2023년 919명을 기록했으나 최근 2년 간 인구 편차는 300명 안팎으로 유지됐다.

결국 타 지역 인구를 흡수해 자연 감소와 균형을 맞추는 상태가 이어졌으나, 올해는 전입자 감소가 두드러져 자칫 균형이 깨질 위기에 놓인 셈이다.

■전입 장려금 새 버전 나오나=이 같은 상황에 시는 새로운 인구 조례 제정을 의회와 협의하며 전입 장려금 재도입에 대한 검토에 들어갔다. 현금성 지원에 대한 지적이 나오지만 청년 일자리 등 중장기 인구 대책을 마련하는 동안 인구를 사수할 단기 대책이 절실하다는 판단에서다.

지난 2월 정부의 청년 월세 한시 지원 사업 신청 마감을 앞두고 대학생 전입자가 1,232명까지 급증한 현상도 인구 유입을 위한 금전 지원책의 효과를 보여줬다. 또 지난해 시가 지역 대학생 113명을 상대로 한 구두 설문에서도 전입 장려금이 전입 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줬다는 응답이 69%에 달했다.

다만 시는 기존 전입 장려금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춘천사랑상품권 지급으로 지역 내 소비를 강화하고 대학 졸업 후에도 춘천 거주를 유지할 경우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시 관계자는 “단기 대책 뿐만 아니라 전문기관을 통한 중장기 인구 대책을 수립해 종합적인 정책을 추진할 것”이라고 했다.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