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일보 모바일 구독자 280만
정치일반

강원 공약 대결…1순위 민주당 '미래산업 경쟁력' vs 국민의힘 '강원특별법 3차 개정'

미래산업 육성…이재명 '에너지 전환' vs 김문수 '7대 전략산업'
강원특별법 개정 공감대… 철도 등 교통 인프라 확충 놓고 차별화

◇18일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수원컨벤션센터 야외광장에서 경기도선거관리위원회 관계자들이 제21대 대통령선거 정책선거 홍보 캠페인을 하고 있다. 경기도선거관리위원회는 선거일인 6일까지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정책선거정보ZONE'을 운영한다. 연합뉴스

6·3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강원특별자치도 유권자의 마음을 얻기 위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와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의 공약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다. 지난달 강원지역 1순위 공약으로 ‘미래산업 경쟁력 강화’를 제시했던 이 후보에 이어 김 후보는 18일 ‘강원특별법 3차 개정’을 첫 번째 우선순위로 하는 강원권 공약을 발표했다. 강원특별법 개정, 미래산업 육성, 관광산업도약, 교통 인프라 확충 등 큰 틀은 비슷했으나 세부 내용은 달랐다.

이재명 ‘미래산업 경쟁력 강화’=민주당 이재명 후보의 강원 공약은 크게 다섯 가지다. 첫 번째로 ‘미래산업 경쟁력을 키우겠다’고 강조했다. 동해를 북방교역을 이끄는 환동해 경제권의 전략 거점으로 육성하고, 부유식 해상풍력과 수소에너지 산업을 육성해서 에너지 전환 중심으로 만들겠다는 것이다. 두 번째 ‘세계가 찾는 K-문화관광 벨트를 구축’을 위해서는 평창과 강릉의 올림픽 유산을 활용한 글로벌 복합 휴양지 조성 등을 거론했다. 이어, ‘함께 살아가는 강원 조성’을 위해 춘천·원주·평창 등에 미니 신도시형 은퇴자 정주 단지 마련, 닥터헬기 추가 도입, 소방헬기 대폭 확충 등을 들었다. ‘강원자치도 권한과 자율성 대폭 확대’는 네 번째 공약에 올랐다. 강원특별법 3차 개정안의 조속한 마무리와 교육, 환경 등 핵심 분야의 실질적 권한을 이양해 강원형 자치모델을 발전시키겠다는 내용이다. 끝으로 ‘사통팔달 강원 수도권 연결’도 공약했다.

김문수 ‘강원특별법 3차 개정’=국민의힘 정책총괄본부는 이날 김문수 후보의 7가지 강원공약을 세부적으로 발표했다. 첫 번째 공약은 ‘강원특별법 3차 개정’이다. 강원특별법 3차 개정 법안의 조속한 국회 통과 추진과 함께 국제학교와 강원과학기술원 설립, 수소·바이오헬스 산업 육성 등을 핵심 과제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또 ‘강원특별자치도 미래산업 육성과 제도적 기반 강화’도 약속했다. 반도체, 바이오, 수소에너지, 친환경미래차, 연어산업, 첨단방위, 기후테크 등 7대 전략산업을 중심으로 지역 특화형 생태계를 조성하겠다는 계획이다. 세 번째, 강원자치도 규제 혁신과 자원 활용을 위한 농지특례 존속기한 폐지, 군사규제 혁신을 주민 불편 해소 등도 짚었다. 강원형 교통망과 물류 허브 구축과 강원관광산업 도약, 조기 폐광지역 지역경제 활성화, 강원형 농어촌 미래혁신 프로젝트도 약속했다.

공통 과제 많지만 접근법 달라=두 후보 모두 강원을 글로벌 산업 중심지로 키우겠다는 목표는 같지만, 접근법은 다르다. GTX-B(춘천), GTX-D(원주) 노선 연장, 강원내륙선 신설 등은 공통이나, 민주당은 동서고속화철도, 동해북부선 조기 완공을, 국민의힘은 제천~영월, 영월~삼척 고속도로 건설을 추가로 강조했다. 폐광지 개발도 민주당은 청정에너지·의료·관광 산업 육성을, 국민의힘은 면세점 설치와 태백 메탄올 기지 조성을 내세워 차별화했다.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