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특별자치도 해수욕장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지속적인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도내 6개 시·군 주요 해수욕장을 찾은 입장객이 850만명을 돌파했고, 폐장일인 오는 31일까지 900만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2020년 362만명으로 최저점을 찍은 뒤 매년 오름세를 이어 온 것은 고무적인 일이다. 특히 강릉은 지난해 대비 20.8%의 증가율을 기록하며 동해안 지역의 대표 해수욕장으로서의 입지를 다시금 증명했다. 이는 도가 청정 자연환경을 기반으로 관광 회복력을 확보하고 있다는 긍정적 신호다. 그러나 입장객 수 증가가 마냥 반가운 일만은 아니다. 이 같은 수요 변화에 발맞춘 운영 체계와 안전관리 시스템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사고 위험은 기하급수적으로 높아질 수밖에 없다. 실제로 강릉, 동해, 삼척 해수욕장이 이미 폐장했지만, 지난 24일에도 속초·양양·고성 해변에 5만명 이상이 몰렸다. 더위가 이어지는 가운데 폐장 이후 해변을 찾는 인파는 계속될 것이며, 이들을 위한 대응책이 절실하다.
각 지자체가 해수욕장 폐장 이후에도 안전관리 인력을 투입하고 연장 운영 여부를 탄력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은 바람직한 방향이다. 하지만 운영 주체마다 대응의 편차가 발생하고 있고, 일관된 기준이 부재하다는 점에서 체계적인 지침 마련이 요구된다. 날씨 변화에 따라 해변이 사실상 ‘비공식적’으로 운영되는 상황이라면, 폐장 여부에 관계없이 응급 대응 체계는 연중 유지돼야 한다. 또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홍보와 현장 계도가 보다 강화돼야 한다.
특히 가족 단위 관광객이나 외국인 관광객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다국어 안전 표지판과 인명 구조 장비의 확보는 필수다. 해변 내 음주 수영, 무리한 수상 레저 활동, 야간 입수 등 사고 유발 요소에 대한 경고와 단속도 병행돼야 한다. 관광 활성화를 위해 개장 기간을 연장하거나 폐장 후에도 해변 이용을 허용한다면 그만큼 안전관리도 철저를 기해야 함은 당연하다.
나아가 기후 변화에 따라 여름철 더위가 장기화되고 있는 만큼 향후 해수욕장 운영 계획도 계절 단위를 넘어선 유연한 대응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기상청과의 연계, 관광객 흐름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 민간 구조대 및 자율방범대와의 협업 등을 통해 종합적이고 과학적인 대응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단순한 ‘폐장=운영 종료’라는 기존 패러다임에서 벗어나야 할 때다. 해변에서의 사고는 단 한 건만으로도 지역 이미지에 타격을 줄 수 있으며, 관광 산업 전반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