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일보 모바일 구독자 280만
사회일반

명절 앞두고 강원 체불임금 340억...끊이지 않는 서민 생계 고통  

강원지역 체불임금 340억원 규모...2년째 300억대 못벗어나
전체 체불임금 중 7%는 일용직 근로자 많은 건설현장 발생

자료=강원일보DB

추석이 한달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강원지역 임금체불이 약 340억원에 달하는 등 서민 경제에 비상이 걸렸다.

고용노동부 강원지청에 따르면 지난 8월말 현재 강원지역 누적 임금 체불 총액은 340억원이다. 특히 임금 체불 피해자 상당수가 영세 업체의 열악한 환경에서 일하는 노동자들로 일부는 생계에 어려움을 겪는 등 고통을 겪고 있다.

강릉의 한 식품제조사에 근무하던 이모(51)씨는 2023년 5월부터 1년 넘게 지속된 임금체불을 견디지 못하고 지난해 9월 퇴사했다. 11년간 임금체불액이 3,200만원에 이르면서 더 이상 근무를 통해 생계를 유지할 수가 없어졌기 때문이다.

이씨는 "월급날에 제대로 월급을 받아 본 적이 없다"며 "회사가 적자라는 이유로 월급을 절반만 주거나 아예 입금을 주지 않았던 달도 있다"고 토로했다.

경기 불황의 직격탄을 맞고 있는 건설기계업에서도 임금 체불이 이어지고 있다. 민주노총 건설노조 강원지역본부에 따르면 원주의 한 공사현장에서는 하도급 업체가 부도를 맞아 지난해부터 노동자 10여명이 3억의 임금 체불 피해를 입은 것으로 조사됐다. 체불 피해 관계자는 "노동자들은 체불로 인해 공사에 필요한 기기마저 압류당하고 근근이 생계를 유지하고 있다"며 "조속한 해결이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강원자치도의 임금 체불 규모는 같은 기간 2022년 204억원에서 2024년 364억으로 약 1.5배 가까이 치솟은 뒤, 줄곧 300억원대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현경 강릉노동인권센터장은 “정부 제재가 미약하다 보니 사업주가 임금 지급을 후순위로 두고 안일하게 대응하는 게 현실”이라며 “임금 체불의 경우 사후 조치 시스템이 아닌 예방위주의 근로감독을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고용노동부강원지청에 따르면 지난해에도 강원지역 내 1,995개 사업장에서 5,241명의 노동자가 임금을 받지 못했다. 노동계와 전문가들은 강원지역의 임금 체불이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보고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