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관악구 신림동. 버스에서 내려 좁은 골목길을 걷다보면 빨간색 벽돌로 지은 옛 건물들이 보인다. 마치 '비밀의 정원' 입구처럼 지금까지와는 다른 풍경이 눈에 들어온다. '강원학사'. 강원특별자치도가 수도권 대학에 진학한 학생들의 거주지 지원을 위해 만든 기숙 시설이다.
학사 입구 큰 바위엔 이렇게 적혀 있다.
'고향과 부모님께 부끄러운 자는 이 문을 드나들지 말라'
강원학사 7대 자치회장을 지낸 황동주 (주)이티링크 대표는 "강원도민들이 낸 세금으로 운영하는 학사 덕분에 대학을 다녔으니 이게 평생의 빚"이라며 "여건이 안되면 어쩔 수 없지만 기회가 되면 갚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래서일까. 황 대표가 말한대로 '빚' 갚은 졸업생들 덕분에 강원학사의 50년은 '빛'이 난다. 서로를 잇는 끈끈한 마음이 굽이굽이 세대를 넘고 넘어 지금도 반짝인다.
그들이 사랑했던 그 곳, 그리고 여전히 남아있는 그 곳. 새강원의숙 시절 7대 자치회장을 지낸 황동주 대표와 현재의 강원학사를 지키고 있는 관악 79대 자치회장 조수현(홍익대 4학년)· 도봉 10대 자치회장 용예훈(국민대 3학년) 학생들을 만나 설립 50주년을 맞이한 강원학사의 시간을 되짚어본다.
■ 황동주 (주)이티링크 대표(새강원의숙 7회 자치회장)
■ 조수현(홍익대 4학년 관악학사 79대 자치회장)
■ 용예훈(국민대 3학년 도봉학사 10대자치회장 )

- 강원학사에 어떻게 들어오게 됐나
△황동주 대표 = "그 때가 1976년이니까 새강원의숙 시절이었다. 아버지가 공무원이셨는데 나도 모르게 신청을 하셨더라. 그 시절만 해도 진짜 서울에서 생활하기 힘든 사람들이 많이 들어왔다. 대부분 가난했지. 나 같은 경우도 사실 강원학사 아니었으면 휴학하고 군대가려고 생각했다. 서울에서 생활이 안되니까. 그나마 강원학사 입사가 되어서 대학생활 4년을 무사히 마칠 수 있었다"
춘천 출신인 황 대표는 당시 연세대 전기공학과를 다녔다. 1976년 학사에 들어와 2년뒤인 1978년 2학기 자치회장(7대)을 지냈다. 벌써 47년전 일이다.

△조수현 회장(관악학사 79대 자치회장) = "태백이 고향인데 같은 학원 다니던 형들에게 강원학사에 가면 다양한 학교의 친구와 선·후배를 만날 수 있다는 얘기를 듣고 관심을 갖게 됐다. 같은 고향 출신들끼리 모여 있는 곳이다보니 안정감이 많이 들었다"

△용예훈 회장(도봉학사 10대 자치회장) = "학교 기숙사 떨어지고 지낼 곳을 찾다가 한 줄기 빛처럼 강원학사를 알게 됐다. 추가접수로 들어왔는데 지내다 보니까 좋은점도 너무 많았다. 애착을 갖고 하다 보니 사생들을 대표하는 자치회장까지 맡게 됐다"
- 학사에 대한 첫 인상은?
△조 회장="첫 날 살짝 길을 잃어 헤맸던 기억이 난다. 겨우 찾았는데 들어오자마자 로비 한가운데에 나무 현판이 눈에 들어왔다. '강원도에 사람 없다는 말만은 듣게 않게 하라' 라는 글귀가 쓰여 있었다. 엄청난 곳에 온 듯한 느낌을 받았다"
조 회장이 본 나무 현판 글귀는 고(故) 박종성 강원도지사가 남긴 말이다. 1974년 3월 강원도 최초의 인재양성 방안을 구상한 박종성 지사는 1년 4개월만에 도 출신 서울 유학생을 위한 기숙사를 건립했다. 새강원의숙이 문을 연 1975년 7월 24일, 그렇게 강원학사의 역사가 시작됐다.
이 나무 현판이 어떻게 지금의 강원학사에 걸리게 됐는지는 황 회장이 상세하게 기억하고 있었다.
△황 회장 ="당시 박종성 지사가 강원 인재를 키워야겠다고 생각하신 이유가 있었다. 중앙 부처에 가서 현안 부탁을 해야 하는데 눈 씻고 찾아봐도 강원도 사람이 없었다고 하더라. 우리 얘기를 진정성있게 들어줄 사람이 있어야 하는데 부탁할 사람이 없으니 그게 가슴에 한이 맺히셨던 거다. 우리가 그 말을 기억하고 있다가 지사님이 별세하신 후 현판에 써서 새강원의숙 때부터 걸었는데 그게 지금까지 내려왔다"
△용 회장 ="서울에 처음 와서 같은 방을 쓰게 된 선배에게 '서울 시내는 역시 사람도 많고 붐비네요'라고 말했는데 선배가 웃으면서 '서울에 시내가 어디있니. 촌티야 그거'라고 하더라. 마침 그 선배가 같은 학교여서 도움을 많이 받았다. 학교 기숙사 처럼 침대랑 책상만 있는 줄 알았는데 거실도 있고 해서 재미있겠다고 생각했다"
- 강원학사 생활을 하면서 가장 좋았던 점은 무엇일까
△황 회장="당시에는 느끼지 못했는데 지나고 나니 다양한 사람들을 만날 수 있었던 게 가장 좋았다. 학교 친구들은 취업하면 아무래도 전공이 같기 때문에 비슷한 종류의 일을 한다. 그런데 강원학사에서 만난 사람들은 학교도, 출신도, 전공도 다 다르다. 학교 다닐 때 이런 걸 미리 알았으면 더 잘했을텐데. 하하"
△조 회장="공감한다. 이제 4학년이니까 취업 고민이 많은 시기인데 졸업한 형들에게서 현실적인 조언을 엄청 많이 받았다. 학사에 살면서 당연히 금전적으로 혜택을 받는 부분도 있지만 말씀하신대로 다양한 사람들과의 교류, 만남이 가장 큰 소득이다"
△용 회장="맞다. 학사 내 문화제에서부터 재경학사 모임까지 있다 보니 다양한 사람과 인사하고 친해진다. 그러다 보니 시야와 안목도 저절로 넓어지는게 느껴진다. 저도 공대생이다 보니 공대친구들이 많았는데 여기에 와서 국어국문, 예술하는 친구들 알게 되면서 나와는 좀 다른 생각을 하는구나 하는 생각도 많이 했다"
- 강원학사 생활을 하면 아무래도 강원도에 대한 생각도 남다를거 같다
△황 회장="여기서 혜택을 받았으니 받은 건 돌려줘야 한다는 생각을 한다. 어찌 보면 여기서 대학을 다닌 게 평생 인생의 빚이다. 경조사만 빚이 아니다. 강원학사는 도민들이 낸 세금으로 운영되는 곳이지 않나. 빚진거다. 그것도 평생 빚이다. 기회가 되면 갚아야 된다. (여건이) 안되는 사람도 있지만, 되는 사람은 갚자 이거지. 여기 없었으면 대학 못다녔을거 아닌가"
△조 회장="그때와 분위기는 좀 다르지만 마음의 빚이 안 생길 수 없다. 말씀대로 많은 것을 받은 거니까. 이런 마음이 후배들에게도 계속 전해졌으면 한다"
△용 회장="강원도라는 말이 참 신기하다. 친근하고, 저절로 유대감이 생긴다. 선배들처럼 나중에 큰 사람이 된다면 당연히 후배들을 위해 물심양면 도울거 같다"
- 올해가 강원학사 설립 50주년이다. 또 50년뒤, 100주년을 맞이하는 후배들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황 회장="강원학사를 하나의 키워드로 표현한다면 '강원도의 미래' 아닐까. 하하. 당부하고 싶은 것은 긍정적인 사고 방식을 가지라는 거다. 공부도 열심히 해야 하지만 사람이 되어야 하고, 인성이 되어야 한다. 강원학사는 그런 걸 배우는 곳이었으면 좋겠다. 책도 많이 읽고 선후배 간 토론도 하고. 그러다 보면 인재들이 쌓일것이고 또 그러다 보면 강원도를 위해 '요만큼'이라도 기여할 것 아니냐. 이제 졸업생이 7,000명 된다. 마음이 모여야 한다"
△조 회장="사람을 남기라고 말해주고 싶다. 저 역시 너무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을 받았던 사람이다. 모든 외향적 능력을 발휘해서 많은 인맥을 쌓았으면 좋겠다"
△용 회장 ="좀 더 단순하게 지금의 생활을 즐겼으면 좋겠다. 지금처럼 즐기고 쉴 수 있는 곳으로 마음 속에 강원학사가 남았으면 한다"
△황 회장="세대 차이가 있지만 변하지 않는 건 같이 생활한 선후배, 친구들이다" 정리=원선영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