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일보 모바일 구독자 280만
경제일반

“20년 후 강원지역 생산연령인구 35% 이상 감소… 노동인구 불균형 완화대책 시급”

정종우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과장, 이철희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
‘인구 변화가 지역별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보고서 발표

◇지자체 생산연령인구 변화율 자료=‘인구 변화가 지역별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보고서

20년 후 강원지역 생산연령인구가 30% 넘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노동인구 불균형 완화대책 마련이 시급해졌다.

정종우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과장과 이철희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최근 ‘인구 변화가 지역별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들은 보고서를 통해 2042년까지 강원특별자치도 대다수 시·군의 생산연령인구가 35% 이상 급감할 것으로 예측했다.

특히 태백, 영월, 평창, 정선, 철원, 고성 등 6개 시·군의 경우 경제활동인구 또한 35% 넘게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숙박 및 음식점업에서 상당한 규모의 노동인력 부족을 경험할 것이라고 분석됐다.

인구가 감소하는 지역은 일반적으로 청년 인구 순유출과 장년인구 순유입의 현상이 나타난다. 한국은 장년층의 경제활동참가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청년층의 경제활동참가율은 낮기 때문에 15~24세 인구 순유출과 50~64세 순유입이 두드러지는 시·군·구는 생산연령인구의 비율이 낮을 수 밖에 없다.

실제로 강원특별자치도는 지난해 유소년과 생산인구가 역대 최저를 기록, 65세 인구는 처음으로 37만명을 넘겼다. 통계청의 ‘2024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 0~14세 인구는 14만6,190명명으로 사상 처음 15만명선 아래로 내려앉았다. 15~64세 생산연령인구는 100만1,437명으로 1년 새 1.6% 줄었으며 감소폭은 역대 가장 컸다.

보고서는 연령별 인구집단의 다른 이동 양상이 지역 간 노동인구 불균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청년층(20~34세)은 중소도시에서 대도시로, 장년층(50~64세)은 대도시에서 중소도시로 이동하는 경향이 상대적으로 뚜렷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청년층의 대도시 집중을 막기 어렵다면, 장년층이 중소도시나 농촌으로 이동하는 경향을 강화하는 정책이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정종우 과장과 이철희 교수는 “지역 거점도시 육성으로 청년층이 지방에서도 경제적 기회를 찾을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한다면 지역 간 청년 인구이동 차이를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장년 인구를 경제적 유인책 제공, 복지·의료 서비스 강화 등을 통해 대도시에서 중소도시로 이동을 장려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