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일보 모바일 구독자 280만
정치일반

불에 탄 행정망…강원도는 안전한가

강원도 전산망, 서버와 UPS 배터리 별도 공간 분리 운영 중
한국지역정보개발원 실시간 백업, “데이터 소실 우려 작아”
다만 국정자원 백업 시스템 제 역할 못해, 재점검은 필요
도청 자체 시스템 79개 정상 가동 중…민원 공백 최소화

29일 오전 춘천시청 민원실 앞에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주요 정부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함을 알리는 안내 현수막이 놓여있다. 신세희기자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영향으로 29일 중앙 정부 행정 정보시스템이 마비되며 민원과 행정망이 상당 부분 마비된 가운데 강원특별자치도의 행정 정보시스템의 안정성에도 관심이 쏠린다.

강원자치도는 행정망 서버와 배터리를 분리해 운영 중이며 실시간 백업으로 데이터 소실을 막고 있어 비교적 안전하다는 설명이지만 이 기회에 전반적인 재점검의 필요성도 제기된다.

이번 국정자원 화재의 원인은 무정전 전원장치(UPS)용 리튬이온 배터리의 발화로 추정된다. 도에 따르면 2002년 도청 신관 리모델링 당시 서버가 있는 전산실과 배터리가 있는 공간을 별도의 공간에 분리했다. 이로 인해 화재 발생 시에도 서버의 데이터 소실 등은 발생할 가능성이 낮다는 것이 도의 설명이다.

또 국정자원 배터리는 사용연한 10년이 지나 교체 권고를 받은 반면 강원자치도는 2020년 3월 배터리를 전부 교체했다. 도청 행정데이터는 실시간으로 한국지역정보개발원으로 백업돼 소실 우려가 작다고 도는 밝혔다.

김진태 강원자치도지사는 “강원도는 처음 전산 서버를 설치할 때부터 배터리를 콘크리트 벽으로 차단된 별개의 방에 별도 관리해 배터리 화재와는 무관하다”며 “화재뿐만 아니라 여러 천재지변 등이 있을 수 있지만 한국지역정보개발원에 데이터가 전송·보관돼 백업이 된다”고 말했다.

다만 국정자원 역시 이번에 화재가 발생한 대전 본원과 광주센터 간 백업이 가능한 ‘쌍둥이’시스템을 갖췄음에도 일부 데이터만 백업이 된 것으로 알려진 만큼 재검검할 필요가 있다.

한편 국정자원 화재로 29일 오전 기준 강원자치도가 운영 중인 115개 전산시스템 가운데 36개가 중단되거나 일부 기능이 제약을 받고 있으며, 79개는 정상 운영 중이다.

이 중 28개는 수기 등 아날로그 방식으로 처리하는 중이다.8개는 중앙정부 복구가 완료돼야 정상 가동이 가능하다는 것이 도의 설명이다.

도는 무인민원발급기, 국민신문고, 본인인증 서비스, 전자바우처(사회서비스), 복지로(복지급여), 국가법령정보시스템 등 중앙부처 주요 시스템이 멈추면서 제증명 발급과 복지 서비스 신청 등 대민 행정 전반에 차질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대응해 직접 방문 접수, 수기 처리, 처리기한 연장, 대체 절차 등을 시행하고 있으며 주민등록 등·초본 발급 등 제증명은 시·군 및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수기 발급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정부의 지침에 따라 발급 수수료가 감면된다.

관련기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