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일보 모바일 구독자 280만
정치일반

은행·보험·증권 5년새 25% 폐점…허영 “금융접근권 붕괴 심각”

강남 3구에 서울 은행지점 30% 이상 집중, 중·저소득 지역 ‘금융공동화’ 가속
허영 의원 “은행권 순이익 5년간 91조원에도 금융공공성 외면…책임 인식해야”

최근 5년간 금육권의 지점 축소가 진행되며 금융 접근성의 격차가 극심해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더불어민주당 허영(춘천갑) 국회의원이 21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0년부터 올 6월까지 5년 6개월간 은행·보험·증권사 지점 4곳 중 1곳이 문을 닫았다.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은 전국 2,688개 지점을 운영 중으로, 937개 지점을 폐쇄해 26%가량이 감소했다. 5대 생명보험사는 1,959개 지점 중 484곳(20%)을, 9개 주요 증권사는 407개 중 233곳 (36%)을 줄였다. 강원도에서도 이 기간 국민은행 2곳, 하나은행 1곳, 증권사 가운데 신한라이프 4곳, 교보생명 3곳, 농협생명 2곳, 한화생명 1곳 등이 폐점한 것으로 조사됐다.

비대면 거래 확산에 따른 불가피한 변화라는 평가도 있지만 점포 축소 속도가 과도해 금융소비자 접근성이 낮아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또 허 의원은 4대 시중은행의 서울 지점 1,045곳 가운데 전체 31.5%인 329곳이이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에 몰린 반면 중·저소득 지역에서는 폐점이 잇따라 금융서비스의 ‘공동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허영 의원은 “지난 5년간 91조원의 막대한 이익을 낸 은행권은 금융서비스의 공공성에 대한 책임도 무겁게 인식해야 한다”며 “보험사와 증권사 등 모든 금융권이 지역과 계층을 아우르는 포용적 금융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경영 효율화만을 이유로 금융소비자 접근성이 훼손되지 않도록 금융당국이 적극적인 관리·감독과 제도 개선에 나서야 한다”고 했다.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