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특별자치도의회가 실효성 있는 청년 정책 마련을 목표로 '강원형 청년일자리 안심공제사업' 추진을 제안하고 나섰다.
도의회 경제산업위원회는 6일 도 경제국 행정사무감사를 열고 실질적인 청년 안심공제사업 시행, 정책 컨트롤타워 구성 등의 정책 제언을 했다.
청년 디딤돌 2배 적금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한 정재웅(더불어민주당·춘천) 도의원은 "청년 10만원, 기업주 5만원, 도·시군 5만원을 합해 3년 유지 시 720만원과 이자를 수령할 수 있는 제도지만 전체 수령 금액이 청년을 지역에 붙잡아둘 만큼 크지 않고 기업활동 안정성에도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정 의원은 현재 원주, 동해, 태백, 삼척, 홍천, 횡성, 영월, 평창이 청년센터를 설치하고 있는 만큼 도내 청년 사업 확장성을 위해 각 시·군 청년센터에 대한 도 차원의 관리·감독을 강화할 것을 요청했다. 박관희(국민의힘·춘천) 의원도 컨트롤타워 역할로 경제부지사 주재의 TF를 구성할 것을 요구했다.
청년창업자금 무이자 대출 지원사업에 대해 최재석(국민의힘·동해) 의원은 "사업장 또는 사업자등록증이 없는 예비창업자가 창업준비 초기부터 자금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개선이 필요하다"고 피력했다.
이 밖에 심영곤(국민의힘·삼척) 의원은 강원전략산업벤처펀드, 강원형 벤처펀드, 강원-전북 지역혁신펀드의 투자가능 대상기업이 비슷한 데 따른 중복 투자 가능성을 우려했고, 김용복(국민의힘·고성) 부의장은 강원 직거래장터의 수도권이 아닌 춘천·원주 등 도내 운영 시 매출이 저조했던 점을 질타하며 개선을 촉구했다.
강원세일페스타 매출액 감소세를 꼬집은 이한영(국민의힘·태백) 의원은 원인 분석과 보도자료 등 홍보에 만전을 기해줄 것을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