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내 초·중·고 420개 급식실이 20일 멈춘다.
전국 학교 현장에서 급식과 돌봄 업무를 맡고 있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20일, 21일 이틀동안 총파업에 돌입한다.
이들은 교육공무직 임금체계와 복리후생 개편 등을 요구했으나 교육당국이 책임회피를 지속하며 총파업으로 내몰았다는 입장을 밝혔다.
18일 교육당국에 따르면 급식·돌봄 노동자 등 학교에서 일하는 비정규직 10만명이 소속된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는 오는 20∼21일, 다음 달 4∼5일 릴레이 총파업을 예고했다.
앞서 연대회의는 지난 13일 교육부와 17개 시도교육청 간 2025년 마지막 집단임금교섭 본교섭을 14시부터 20시까지 6시간 동안 진행했지만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이달 예정된 추가 교섭이 없는 만큼 총파업 강행 가능성은 크다. 연대회의 측은 크게 △교육공무직 임금체계 개편 △기본급·명절상여금 격차해소 △방학 중 무임금 해소 △복리후생 차별 해소 등을 요구하고 있다.
세부적으로는 기본급의 경우 2026년 월 최저임금 환산액 등을 고려해 2026년 1월부터 전체 조합원에게 동일하게 인상하도록 요구했다. 명절휴가비를 기본급+근속수당의 120% 수준으로 설·추석에 동일 지급하는 방안, 생계를 책임질 수 없는 비정상 임금체계인 방학 중 비근무자의 방학 중 무임금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 마련도 촉구했다.
반면 사측은 기본급 7만2000원 인상, 명절휴가비 연 5만 원 인상 수준, 급식실 조리종사자 임금 개선 대책 검토 등을 제시하고 다른 요구안들에 대해선 대부분 수용 불가 의견을 유지했다.
이에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강원지부에 소속된 노동자 1,500여명은 20일 국회로, 21일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앞에서 제도 개선을 촉구하는 집회를 연다.
일선 학교 현장에서는 빵과 우유 등을 제공하면서 급식을 대체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