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후변화연구원과 대한상공회의소, 대통령직속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등은 24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대한민국 탄소포럼 2025’를 개최했다.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을 위한 새로운 도약’을 주제로 열린 이날 포럼에서 김진태 강원특별자치도지사는 개회사를 통해 기후위기가 강원도 발전에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김 지사는 “올해 강릉은 극한 가뭄과 극한 호우가 단기간에 잇따라 발생하며 기후 변화가 이미 일상 속 위기로 다가왔다”며 “강원도가 특별자치도 출범을 계기로 미래산업 글로벌 도시로 도약하고, 기후테크를 핵심 산업으로 육성하겠다”고 강조했다.
이호현 기후에너지환경부 2차관은 “탄소배출이 가장 많은 중국이 기후위기 대응에서 글로벌 리더십을 강화하고 있다”며 “우리 역시 탄소배출 감축 전략과 성장 전략을 다시 점검해야 할 시점이다”고 밝혔다.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김소희(국민의힘) 의원은 “파리협정 이후 국제사회가 기후 대응 강화를 요구하고 있으나, 재원 마련과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은 여전히 구체성이 부족하다”며 “‘뉴클리어 이니셔티브’가 기후위기 해결을 위한 핵심 축인 만큼 원전을 청정에너지로 인정하고 설비 확대 등 실효적 운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포럼에서는 이회성 무탄소연합 회장, 김종률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사무처장, 이미선 기상청장, 김인호 산림청장 등이 기후위기 시대의 탄소중립 국제 동향과 국내 대응 사례를 공유했다.
이 자리에서 김인호 산림청장은 인제, 양양 산불로 가을 산불이 일상화 된 점을 고려, '사람을 살리는 숲, 숲을 살리는 국민'을 강조했다. 또 가을 산불 예방을 위한 ‘스마트산림재난’ 앱 홍보, 국민 참여에 의한 숲가꾸기 운동 전개, 산림분야를 지키기 위해 목재건축 활성화법 제정을 촉구했다.
최병수 한국기후변화연구원장은 “탄소중립에 따른 산업계의 변화를 앞두고 강원도가 기후테크를 미래산업으로 선정했다”면서 “한국의 존망이 달린 기후테크 산업을 심도있게 연구하겠다”고 했다.
또 전의찬 세종대 석좌교수가 좌장으로 나서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을 위한 새로운 도약'을 주제로 특별대담도 진행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