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말고사를 앞둔 대학가에서 생성형 인공지능(AI)활용을 둘러싼 혼란이 커지고 있다. 최근 연세대, 고려대에서 AI를 이용한 부정행위가 잇따라 적발된 것처럼 학생들의 AI 사용이 일상화 됐지만 평가 분야에서 어디까지 허용할 지에 관한 논의는 시작도 못한 실정이다.
한림대 식품영양학과 이하은(23)씨는 “올해 거의 대부분의 학생들은 과제에 챗GPT뿐만 아니라 제미나이(Gemini) 등 다양한 플랫폼을 사용한다”며 “비대면 시험에서 부정행위의 유혹이 당연히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실제 올 2월 에브리타임 운영사 비누랩스가 대학생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중 71.2%는 “현재 AI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고 답했다.
강원대 신문방송학과 박현근(25)씨도 “윤리적으로 AI를 활용한 부정행위는 안 된다는 것은 알고 있지만 성적 부담 때문에 다 하는데 나만 안 할 수는 없는 노릇”이라며 “이제는 학생의 양심에 맡길 게 아니라 '어디까지 허용되는지'를 명확히 선을 그어 주는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AI 활용에 대한 의견도 교수별로 편차가 큰 분위기다. A교수는 “인공지능 시대는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라며 “오히려 이를 도구로 잘 활용하기 위한 방법을 배워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B교수는 “AI 활용 자체는 인정하더라도 시험·과제 평가까지 이를 허용하는 것은 교육 목적을 흔들 수 있다”고 말했다.
이같은 논란 속에 전국 대학과 마찬가지로 강원대와 한림대 등 강원권 대학도 AI 교육 및 인프라 구축에 적극 나서지만 정작 학생 평가를 위한 '가이드라인'은 부재한 상태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 따르면 전국 대학 131곳 중 101곳(77.1%)은 생성형 AI에 대한 공식 정책을 마련하지 않았다.
김명주 인공지능안전연구소장(서울여대 지능정보보호학부 교수)는 “학생 평가에서 AI를 활용하는 것과 관련 교과목별 특성에 따라 구체화된 세부적인 가이드라인을 만들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