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범죄단지에서 콜센터를 설치해 대통령실과 군부대 등으로 신분을 사칭해 노쇼 보이스피싱 사기 범죄를 저지른 114명이 경찰에 붙잡혔다.
강원경찰청은 대통령실 경호처, 군부대, 정당 등의 관계자를 사칭해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노쇼 사기행각을 벌인 114명을 검거하고 이중 18명을 구속했다고 3일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이들의 범행 규모는 2024년부터 현재까지 밝혀진 것만 560건에 피해금액은 69억원에 달한다.
범죄조직은 소상공인들에게 우선 물품 구매 의사를 밝히고 이어 다른 상품에 대한 대리구매를 요청한 후 계좌이체 등을 통해 현금을 갈취했다. 신분 사칭 콜센터, 가상의 대리구매 물품 판매점 콜센터 등을 별도로 운영했으며 텔레그램을 통해 조직원들을 모집한 것으로 드러났다. 노쇼 사기를 통한 범죄 수익금은 국내 가상자산거래소에서 해외 가상자산거래소로 송금하는 방법을 이용했다. 국내에서 활동한 중계기 관리책은 서울, 경기 등에서 장소를 옮겨가며 수사기관의 단속을 피해 해외와 통신을 유지한 것으로 확인됐다.
강원경찰청은 노쇼 사기 피해가 전국으로 확대되자 경찰청으로부터 집중수사관서로 지정받아 범죄 수사를 진행해왔다. 이어 2024년 12월 캄보디아 시아누크빌에 위치한 범죄단지를 특정하고 인터폴, 국정원 등과 협력해 현지 콜센터를 급습했다. 경찰은 이번 작전으로 국내 총책, 해외 총책, 중계기 관리책, 관리 총책, 관리책, 현금 및 가상화폐 자금세탁책, 유심 판매점 관계자 등을 검거하고 비롯해 범행에 이용된 중계기, 대포폰, 대포통장 등도 확보하는 성과를 올렸다.
최현석 강원경찰청장은 “최근 공공기관을 사칭하는 노쇼 사기 사건이 늘어나고 있는 만큼 계약 등에 의한 대리구매의 경우 반드시 해당기관 대표번호를 통해 사실관계를 명확히 확인해야 한다”며 “특히 공공기관에서는 대리구매를 요청하거나 물품 금액에 대한 선입금을 요구하는 일은 절대 없다”고 말했다.
이어 “경제적으로 취약한 청년층, 사회초년생 등이 범행에 가담하는 사례가 많은데 국내외에서 업무 난이도에 비해 비정상적인 고수익을 약속하는 제안은 납치감금 등의 피해로 이어질 수 있고 사기죄의 공범으로 처벌받는다”고 강조하며 “경찰은 지속적으로 국제 공조를 통해 해외 콜센터와 이와 연계된 국내 조직까지 검거하는데 수사력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