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양국제공항이 2018평창동계올림픽을 앞두고 활로 찾기에 고심하고 있다. 올림픽이 6개월여 앞으로 다가왔지만 중국의 사드 보복 조치인 금한령으로 이용객이 급감했기 때문이다. 양양공항의 활성화 과제와 전망에 대해 살펴본다.
올들어 전세기 신규취항 불허 노선 확대논의도 중단
도 중국과 협력사업 논의불구 외교마찰 희생양 위기
■양양공항 이용객 50% 이상 급감=양양공항의 최대 이용객은 중국인이다.
국내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결정에 따라 중국이 자국 관광객 송출을 중단한 2016년 12월 전까지 전체 외국인 이용객의 90% 이상이 중국관광객이었다.
올해 들어 중국이 전세기 신규 취항을 불허하면서 양양공항과 중국을 오가는 노선은 전무하다. 평창올림픽을 앞두고 상하이 광저우 베이징 선양 등 중국노선을 11개로 확대하려던 계획 역시 중단됐다.
금한령으로 인한 양양공항의 피해는 이용객 수치에서 단적으로 나타난다. 지난해 총 11만3,250명이 이용했지만 올해는 7월 말 기준 3만2,067명으로 급감했다.
도는 동남아와 일본 등 노선 다변화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한계를 실감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동남아 노선을 한 번 띄우기 위해 지원하는 비용으로 중국노선은 2~3번을 띄울 수 있다. 그만큼 중국노선이 공항 활성화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고 말했다.
■꼬이는 한중관계, 도 차원 노력 한계=최문순 지사는 지난달 25일 중국 베이징을 방문해 한중올림픽 협력을 위해 오는 9월 중으로 양양~베이징 전세기를 띄우겠다며 중국의 지원을 요청했다. 상하이 선양 등 잠정 중단했던 정기노선 운항 재개시점을 검토하는 등 일부 진전된 논의도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지난달 28일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실험에 따라 정부가 사드 4기 추가 배치를 선언하며 수포로 돌아가는 분위기다. 한·중 올림픽관광상품 공동개발 등 협력사업도 당분간 논의가 어려울 전망이다.
도는 금한령 속에서도 한중 올림픽하늘길 개설을 위해 올해 초부터 중국과 긴밀한 협의를 진행해 왔다. 올림픽을 200여일 앞두고 포괄적인 올림픽 협력사업이라는 카드로 활로를 모색했지만 결국 한중 외교마찰의 희생양이 될 위기에 처했다.
이성현기자 sunny@kw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