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일보 모바일 구독자 280만
여론마당

[여론마당]보이스피싱 범죄의 공식

김봉래 삼척경찰서 수사지원팀장

며칠 전 지인으로부터 전화를 받았는데, 그 내용인 즉은 인버터 건조기를 구입하지도 않았는데 대금이 결제됐다는 문자를 받고 궁금해 거기에 표시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었다가 피해를 당할 뻔했다는 것이다. 어떤 남자가 전화를 받아 국제범죄수사대이니 금융감독원 직원이니 하면서 차례로 전화를 바꿔주더니 결국 검찰청 검사라고 사칭하는 자가 전화를 받아 “환치기 국제범죄에 연루돼 있는데, 빨리 협조하면 당신만은 보호해 주겠다”며 얼르고 달래면서 혼을 쏙 빼놓더라는 것이다.

보이스피싱 피해 내용을 종합해 보면 대부분의 수법이 어느 정도 공식화돼 있다. 보이스피싱 범죄 수법은 허위결제 문자, 허위택배 문자 → 피해자 전화(궁금증) → 금융감독원, 경찰, 검찰 사칭 직원 전화통화 → 정보탈취 앱 설치 요구, 폰뱅킹 OTP번호 등 금융정보 요구 → 예금·적금 인출, 대출 요구 등 보호명목의 금전 요구 순이다. 더불어 허위 거래내역서, 허위 검찰사건조회서, 허위 검찰 공문도 함께 전송해 피해자들을 속이고 있으니 '피해 방지'라는 해법을 찾아야 한다.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