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코로나19 변이인 '뮤(Mu)' 변이가 국내에서도 처음으로 확인됐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3일 정례 브리핑에서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3건의 뮤 변이 해외유입 사례가 확인됐으며, 뮤 변이 감염자 3명은 멕시코, 미국, 콜롬비아에서 각각 들어온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국가별 입국 시점은 멕시코 지난 5월, 미국 6월, 콜럼비아 7월이다. 현재까지 지역발생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뮤 변이는 올해 1월 남미 콜롬비아에서 처음 보고된 뒤 지금까지 남미와 유럽을 중심으로 40개국에서 발견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에서도 2명의 뮤 변이 감염자가 확인됐다.
현재 뮤 변이의 전 세계적인 발생률은 감소 추세로 전체의 0.1% 미만으로 검출되고 있지만, 콜롬비아나 에콰도르 등 일부 지역에서는 환자가 지속해서 증가 중이다.
방대본에 따르면 콜롬비아의 경우 뮤 변이 감염비율이 전체 확진자의 39%에 달하며, 에콰도르도 13%로 높은 수준이다.
박영준 방대본 역학조사팀장은 뮤 변이의 전파율 및 치명률에 대해 "전파율과 치명률은 현재 면밀한 감시가 더 필요한 상황이라 WHO 등에서도 기타 변이로 등록해 모니터링을 진행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방대본은 "뮤 변이를 포함한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에 대해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해외 입국자에 대한 관리를 지속적으로 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현재 주요 변이(우려 변이)로는 알파, 베타, 감마, 델타 등 4종류가 있고, 그보다 한 단계 낮은 기타 변이(관심 변이)로는 에타, 요타, 카파, 람다에 이어 뮤까지 총 5종류가 있다.
이지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