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일보 모바일 구독자 290만
정치일반

文 "尹 탄핵은 피할 수 없는 길…추위 속에 국민을 그만 고생시키기 바란다"

"질서 있는 퇴진 방법은 국민과 헌법 절차 따르는 것뿐"
"세계가 공인하는 합헌적인 권한대행 세우는 것이 시급"

◇문재인 전 대통령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령 선포 이후 탄핵소추안 폐기까지 정국이 급박하게 전개되는 가운데, 문재인 전 대통령은 11일 윤 대통령의 탄핵은 피할 수 없는 길이 됐다고 말했다.

문 전 대통령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질서 있는 퇴진의 방법은 국민과 헌법 절차를 따르는 것뿐"이라며 이같이 주장했다.

문 전 대통령은 "외교가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기에 세계가 공인하는 합헌적인 권한대행을 세우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하다"며 "그러지 못하면 필요한 때 정상외교를 할 수 없게 된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합헌적 권한대행을 세우지 않으면 안보위기 시기에 정상적인 군 통수권 행사도 불가능하다"라고 덧붙였다.

문 전 대통령은 "계엄 내란으로 인한 국민 고통과 국격 추락을 조기에 종식시키는 것도 국회에 달려 있다"며 "의원들은 각자 헌법기관으로서 깊이 생각해주길 간곡히 당부한다. 추위 속에 국민을 그만 고생시키기 바란다"라고 전했다.

◇ 윤석열 대통령이 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대국민 담화를 마치며 인사하고 있다.이날 국회에서는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 표결이 예정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앞서 지난 7일 윤 대통령은 대국민담화를 통해 "이번 비상계엄 선포는 국정 최종책임자인 대통령으로서의 절박함에서 비롯됐다"며 "하지만 그 과정에서 국민들께 불안과 불편을 끼쳤다 매우 송구스럽게 생각한다. 많이 놀라셨을 국민께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저는 이번 계엄 선포와 관련 법적 정치적 책임 회피하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은 "저는 12월 3일 밤 11시를 기해 비상계엄을 선포했다"며 "약 2시간 후 12월 4일 오전 1시경 국회의 계엄 해제 결의에 따라 군의 철수를 지시하고, 심야 국무회의를 거쳐 계엄을 해제했다"라고 설명했다.

또 "또다시 계엄 발동될 것이라는 얘기들이 있지만 분명히 말씀드린다"며 "제2의 계엄은 결코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저의 임기를 포함해 앞으로의 정국 안정 방안은 당에 일임하겠다. 향후 당 국정 운영은 당과 정부가 함께 책임지고 해 나가겠다. 심려 드린 점 머리숙여 사과드린다"라고 말했다.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