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령 선포 이후 탄핵소추안 폐기까지 정국이 급박하게 전개되는 가운데, 문재인 전 대통령은 11일 윤 대통령의 탄핵은 피할 수 없는 길이 됐다고 말했다.
문 전 대통령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질서 있는 퇴진의 방법은 국민과 헌법 절차를 따르는 것뿐"이라며 이같이 주장했다.
문 전 대통령은 "외교가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기에 세계가 공인하는 합헌적인 권한대행을 세우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하다"며 "그러지 못하면 필요한 때 정상외교를 할 수 없게 된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합헌적 권한대행을 세우지 않으면 안보위기 시기에 정상적인 군 통수권 행사도 불가능하다"라고 덧붙였다.
문 전 대통령은 "계엄 내란으로 인한 국민 고통과 국격 추락을 조기에 종식시키는 것도 국회에 달려 있다"며 "의원들은 각자 헌법기관으로서 깊이 생각해주길 간곡히 당부한다. 추위 속에 국민을 그만 고생시키기 바란다"라고 전했다.
앞서 지난 7일 윤 대통령은 대국민담화를 통해 "이번 비상계엄 선포는 국정 최종책임자인 대통령으로서의 절박함에서 비롯됐다"며 "하지만 그 과정에서 국민들께 불안과 불편을 끼쳤다 매우 송구스럽게 생각한다. 많이 놀라셨을 국민께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저는 이번 계엄 선포와 관련 법적 정치적 책임 회피하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은 "저는 12월 3일 밤 11시를 기해 비상계엄을 선포했다"며 "약 2시간 후 12월 4일 오전 1시경 국회의 계엄 해제 결의에 따라 군의 철수를 지시하고, 심야 국무회의를 거쳐 계엄을 해제했다"라고 설명했다.
또 "또다시 계엄 발동될 것이라는 얘기들이 있지만 분명히 말씀드린다"며 "제2의 계엄은 결코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저의 임기를 포함해 앞으로의 정국 안정 방안은 당에 일임하겠다. 향후 당 국정 운영은 당과 정부가 함께 책임지고 해 나가겠다. 심려 드린 점 머리숙여 사과드린다"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