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지역 최대 규모 산업단지 조성이 본격 시작됐다.
강원특별자치도는 최근 ‘원주태봉일반산업단지(이하 태봉산단) 신규 조성을 위한 산업단지 지정계획을 고시했다. 국토교통부 심의 등을 거쳐 이뤄진 것으로 원주에서 세 번째로 추진되는 민간 산업단지다.
■사업 규모와 조성 계획=태봉산단은 태장동 산 174-1 일대에 139만㎡ 규모의 정주형 복합 산업단지로 계획됐다. 첨단의료와 바이오 중심의 산업용지를 비롯해 지원시설용지, 복합시설용지, 주거용지 등을 갖춰 단순한 산업시설을 넘어 주거, 문화, 상업시설이 어우러진 자족형 단지로 개발될 예정이다. 사업을 시행하는 원주태봉일반산업단지(주)는 민간공동개발(SPC) 방식으로 내년 착공, 2028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대우건설, BK투자증권 등이 참여해 프로젝트파이낸싱(PF) 자금 4,700억여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산업용지 부족 해소 기대=원주는 2013년 문막반계일반산업단지까지 8개 산업단지를 확보한 후 10년여간 산업단지 추가 조성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부론일반산업단지 조성이 재개됐고 원주기업도시 인근 신평농공단지 개발도 확정됐지만 부론일반산단의 경우 산업시설용지의 60%가 이미 분양 완료되는 등 산업단지는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특히 이번에 고시된 태봉산단은 문막, 부론지역과 달리 물 환경 규제가 없는 지역에 조성된다. 이차전지, 반도체 등 첨단산업기업 유치에 주력하고 있으나 원주에 이들 기업이 들어올 수 있는 용지가 없는 만큼 시는 태봉산단이 조성되면 기업 유치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해결해야 할 과제=주민 반발과 토지 확보 등은 넘어야 할 산이다. 민간, 공영을 떠나 산업단지 사업에 대한 우려와 반대가 만만찮기 때문이다. 최초의 민간산단으로 2014년부터 추진된 포진일반산단은 국토교통부 산단 지정계획에 반영돼 진행되다가 진입도로 토지 확보 문제로 중지된 상태다. 반계산업단지 역시 조성 당시 거센 반발에 부딪힌 바 있으며 태봉산단 인근 봉산동 민간산단 역시 반대주민대책위원회가 꾸려졌다.
태봉산단측은 이미 토지주 매입 동의율이 60%를 넘었고 11월까지는 절반 이상의 부지 매입을 완료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폐기물처리장 논란이 있는 봉산 민간산단과는 별개의 사업자가 추진하는, 관계없는 사업이라고 선을 긋고 있다.
최기문 원주태봉일반산업단지 대표는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산업단지로 원주 기업 유치 강화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