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일보 모바일 구독자 280만
교육

강원 교사 1명이 최대 5과목까지 … ‘고교학점제’ 전면 개선 목소리

연합뉴스 제공

올해 전면 시행된 고교학점제가 ‘학생 선택 중심 교육’을 표방했지만, 농어촌 학교가 많은 강원지역에서는 교사 1명이 3~5과목까지 떠안으며 과중한 수업 부담에 허덕이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교사 부족과 지역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 제도로 인해 본래 취지가 무색해지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학생이 원하는 과목을 선택해 일정 학점을 이수하면 졸업할 수 있도록 설계된 고교학점제가 올해 전국 일반계 고등학교에 전면 도입됐다. 다양한 선택과목 개설이 필요한 이 제도는, 충분한 교원 확보가 뒷받침돼야 정상 운영이 가능하다. 하지만 농어촌 소규모 학교가 많은 강원지역에서는 그 전제 자체가 무너지고 있다. 25일 교육계에 따르면, 교사 1명이 동시에 맡는 과목 수가 평균 3과목에 이르고, 일부 학교에서는 5과목까지 담당하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중등 교원 수가 해마다 감소하는 상황에서, 한 명의 교사가 진로 선택 과목과 공통 과목을 함께 떠안다 보니 수업은 물론 수행평가, 성적처리, 생활기록부 작성 등 행정 업무 부담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상황이다.

도내 한 고교 교사는 “5과목을 맡으면 수업 부담뿐 아니라 수행평가 등 행정처리도 5배가 된다”며 “작은 학교일수록 교사가 맡는 과목 수가 늘어나 수업과 행정 모두 벅찬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교육당국은 교사 부족 문제를 인지하고, 학교 간 연계수업과 온라인 공동교육과정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지만, 지역적 특수성 앞에 실효성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학교 간 거리가 멀어 차량 이동에만 왕복 2시간이 걸리는 지역도 있으며, 온라인 수업은 학교마다 일과표가 달라 실시간 운영에 한계가 있다는 게 현장 반응이다. 문제는 내년 상황이 더 심각하다는 점이다. 교육부가 예고한 2026학년도 강원지역 중등교과 교사 선발 인원은 62명으로, 올해(118명) 대비 절반 가까이 줄었다. 학생 수 감소에 따라 정원을 감축한 것이지만, 과목 수는 줄지 않아 교사 1인당 업무 부담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이처럼 제도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교사 부담만 커지면서, 현장에서는 고교학점제 폐지 또는 전면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최근 교육부도 국가교육위원회에 고교학점제 개편안을 보고하며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시사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학생 선택과목 보장을 위해 순회교사를 배치하고, 배치가 어려운 경우 시간강사 채용을 지원하고 있다”며 “교원 업무 경감을 위해 진로·학업 설계 지원 안내서와 전용 누리집을 구축 중이고, 대학과 연계한 과목 개발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