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6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 전산실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정부의 주요 업무 시스템 647개가 가동을 멈춘 것으로 나타났다.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은 2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화재로 인해 항온항습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으면서 서버 과열 가능성이 제기됐고, 이에 따라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가동을 중단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현재 항온항습기 복구 작업을 우선 진행 중이며, 이후 서버를 재가동해 시스템을 순차적으로 복구할 계획이다.
김 차관은 "우체국 금융과 우편 등 국민에게 직접 영향을 미치는 핵심 서비스부터 신속히 정상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화재는 국정자원의 무정전 전원장치(UPS) 배터리를 지하로 옮기는 작업 도중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김 차관은 "전원이 차단된 배터리 1개에서 화재가 발생했다"고 원인을 설명했다.

정부가 국정자원 화재 사태에 대응하기 위해 기존 위기상황대응본부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로 격상했다.
행정안전부는 이날 오전 호중 장관 주재로 행정정보시스템 장애 대응 상황판단회의를 열고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또한, 행정정보시스템 재난 위기관리 표준매뉴얼’**에 따라 위기경보 수준을 기존 ‘경계’에서 최고 단계인 ‘심각’으로 상향 조정했다.
이번 화재로 인해 정부24 등 다수 행정정보 시스템이 마비되면서, 정부는 포털사이트 네이버(https://m.naver.com/notice)를 통해 국민 행동요령을 공지했다.
행안부는 공지에서 “행정기관을 방문하기 전, 해당 서비스가 가능한지 반드시 전화로 확인해 달라”며 “현장에서도 일부 지연이나 제한이 발생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정부24, 행안부 홈페이지 등 주요 정부 사이트 역시 현재 접속 장애를 겪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