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대 교수의 연구비 횡령 및 학과장의 학생 인건비 갈취 사건이 국회 교육위원회 국정감사 도마 위에 올랐다.
의원들은 교수와 조교 등 16명이 연구비를 빼돌리거나 교수가 학생들의 인건비를 횡령하는 중대 비위가 연달아 발생했지만 학교 측이 여전히 징계조차 하지 않아 질타 목소리가 높아졌다.
더불어민주당 정을호 국회의원(비례대표)은 22일 대구교육지원청에서 열린 교육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강원대에서 1년 사이 연구비 배임과 인건비 횡령 등 중대 비위가 연달아 발생했는데 학교 측의 해당 비위 교수·조교에 대한 온정주의 때문에 학내 조사나 징계조차 이뤄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전·현직 교수 및 조교 16명이 2018년부터 2024년 8월까지 연구비를 총 368회 걸쳐 6억5,200만원을 빼돌린 혐의로 검찰 수사가 진행 중이다. 또 올 4월에는 교수(학과장)이 2023년부터 올 3월까지 국가연구과제에서 22명의 학생연구원 계좌로 인건비(2억5,000만원), 연구수당(1,000만원)을 가로챈 혐의로 경찰 수사 중이다.
정 의원은 "해당 사건에 연루된 교직원들은 현재도 강의와 연구과제를 진행하고 정상적인 월급을 지급 받고 있다"며 "경찰과 검찰 조사가 끝난 후에 징계를 할 것이 아니라 지금이라도 교육공무원법 등 관계법령에 따라 징계 절차를 신속하게 밟아야한다”고 강조했다.

이와관련 정재연 강원대 총장은 공식 사과했다.
정 총장은 “연구윤리를 강화해왔음에도 이런 일이 벌어진 것에 대해 총장으로서 지역과 학생들에게 정식으로 사과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감사반장인 국민의힘 조정훈(서울 마포갑) 의원도 "명백한 범죄행위가 발생한 강원대가 지역거점대학으로 자격이 있는지 의심스럽다"며 “동료대학 교수라고 팔이 안으로 굽는것 같은데 절대 그러면 안된다. 쳐내야한다”고 지적했다.
국민의힘 서지영 국회의원(부산 동래구)은 강원대의 '공자학원' 운영을 지적하며 폐쇄를 촉구했다. 그는 "공자학원은 미국 FBI가 스파이기관으로 규정했는데 강원대에서 운영되고 있다"며"중국의 체제선전 도구로 전락해 미국 등에서 퇴출운동을 하는 공자학원이 국가정체성에 맞지 않는다면 퇴출을 검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재연 총장은 “대학 내에서 공자학원 폐쇄 여부를 논의하겠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