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일보 모바일 구독자 260만
정치일반

[여론조사-도지사선거]민주, 이광재 2위와 15.5% 격차…국민의힘, 권성동-김진태 오차범위 접전

차기 도지사 후보 적합도

이광재 대선 출마로 인지도 급등 민주당지지층 절반이상 흡수

국민의힘 후보적합도 조사 ‘권성동 1위·김진태 2위' 순위 역전

내년 강원도지사 출마 가능성이 있는 여야 15명의 후보들 중 강세를 보인 것은 전·현직 국회의원들이었다. 더불어민주당 이광재 국회의원이 22.7%로 1위, 국민의힘 권성동 국회의원(10.5%)과 김진태 전 국회의원(10.4%)이 그 뒤를 이었다. 높은 인지도가 지지세를 이끄는 분위기다. 4위인 홍남기 경제부총리(9.2%)도 수시로 언론에 노출되면서 이름을 알렸다.

■이광재 압도적 1위=이광재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후보 적합도 조사에서도 30.7%로 선두에 섰다. 2위인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15.2%)과는 15.5%포인트 격차로 크게 앞섰다. 민주당 대선 출마 후 인지도를 더욱 끌어올렸다는 평가가 나온다. 원창묵 원주시장(6.7%)은 3위에 이름을 올렸다.

올 5월말 대선에 출마 중이던 이광재 의원을 제외하고 실시했던 강원일보 여론조사에서는 홍남기 경제부총리(21.4%), 원창묵 원주시장(10.2%)이 1, 2위였으나 이 의원을 넣자 한 단계씩 내려갔다. 정만호 전 강원도 경제부지사(4.1%)가 그 뒤를 이었고, 김우영 전 서울시 정무부시장(1.5%)과 최윤 강원민주재단 이사장(1.5%)은 처음 조사에 포함됐다. 민주당 지지층 중에서는 이광재 의원(51.3%)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이어 홍남기 경제부총리(16.7%), 원창묵 원주시장(9.8%), 최윤 이사장(2.8%), 정만호 전 부지사(2.2%), 김우영 전 서울시 정무부시장(1.2%), 김정우 조달청장(1.2%) 순이었다.

■권성동·김진태 강세=국민의힘에서는 권성동 의원이 20.0%로 당 후보 적합도 조사에서도 1위를 차지했다. 김진태 전 의원은 16.7%로 2위다. 5개월 전 같은 조사에서 김 전 의원이 17.6%, 권 의원이 16.3%였으나 이번에는 순위가 바뀌었다. 다만 국민의힘 지지층에선 권성동 32.7%, 김진태 30.2% 등 근소한 차이를 보였다.

권 의원은 강릉권(29.8%), 김 전 의원은 춘천권(28.9%) 등 정치적 기반인 지역에서 힘을 얻었다. 그 다음으로 한기호 국회의원(5.8%), 이철규 국회의원(5.0%)으로 현직 의원들이 강세를 보였고, 박정하 전 청와대 대변인(4.3%), 정창수 전 국토해양부 제1차관(3.4%), 이강후 전 국회의원(3.2%), 황상무 전 KBS 앵커(2.4%)가 뒤를 이었다.

■권역별로 지지후보 갈려=도지사 후보 적합도 조사에서 1위에 오른 이광재 의원은 모든 권역에서 고른 지지를 받았지만 특히 정치적 기반인 원주권(27.4%)에서 가장 높은 선택을 받았다. 원창묵 원주시장도 원주에서 10.1%의 지지를 받았다. 김진태 전 의원과 홍남기 경제부총리는 고향인 춘천에서 각각 18.9%, 11.1%의 선택을 끌어냈고, 권성동 의원은 강릉권(17.8%)과 삼척권(11.5%)에서 강세였다. 동해-태백-삼척-정선이 지역구인 이철규 국회의원도 삼척권에서 12.7%로 높게 나왔다.

대선 후보 선호도 조사와 강원도지사 적합도 조사는 지난 15일부터 17일까지 도내 만 18세 이상 남녀 805명을 대상으로 유선(20%), 무선(80%)으로 표본을 구성해 실시했다. 무선은 가상번호를 할당받은 후 무작위 표집 후 조사, 유선은 RDD표본 프레임 내 무작위 추출을 통해 조사를 벌였다. 조사 방법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전화면접(50%)·자동응답(50%) 혼용방식으로 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5%포인트다.

[76주년 여론조사 보충]

1. 조사의뢰자 : 강원일보

2. 조사기관 : 리얼미터

3. 응답률 : 13.6%

4. 가중값 및 산출방법 : 9월 말 행안부 기준 성별·연령별·권역별 인구비례에 따른 가중치 적용

[5월 여론조사 보충]

5. 조사의뢰자 : 강원일보, 강원연구원

6. 조사기관 : 리얼미터

7. 조사일시 : 2021년 5월 24~25일

8. 그 밖의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참조 바람.

이하늘기자 2sky@kwnews.co.kr

관련기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