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일보 모바일 구독자 280만
경제일반

[이코노미 플러스]한국금융연구원 "기업 부실, 길게는 10년 전부터 진행"

한국금융연구원 제공

기업 부실은 길게는 판정이 나기 10년 전부터 장기간에 걸쳐 진행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박준태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21일 '부실 징후 기업의 재무적 특징·시사점'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박 연구위원은 2009년부터 2023년까지 채권은행 정기 신용위험평가 결과 C등급을 기록한 기업 중 실제 업체명을 확인할 수 있는 기업의 주요 재무 변수를 C등급 판정 시점 전후에 걸쳐 분석했다.

그 결과 대기업은 C등급 판정을 받기 적어도 10년 전, 중소기업은 6년 전부터는 음(-)의 영업이익 증가율을 기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산 대비 차입금 비중을 뜻하는 차입금의존도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모두에서 C등급 판정 4년 전부터 빠르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금융비용이 기업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된다.

보고서에 따르면 채권은행 정기 신용위험평가에 따른 부실 징후 기업(C·D등급)은 지난해 230개로 2023년(231개)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그러나 경기 회복 지연에 따른 경영 악화 심화로 상황이 가장 열악한 D등급 기업이 113개에서 130개로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부동산업이 30개로 가장 많았으며, 자동차(21개), 고무·플라스틱(18개), 기계·장비(19개) 등 제조업에서도 부실 징후 기업이 다수 발생했다.

박 연구위원은 "현행 기업 신용위험평가에서 정량평가는 수익성, 채무상환 능력, 재무안정성, 현금흐름 등 해당 연도의 재무적 성과를 바탕으로 이뤄지고 있어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