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특별자치도 국정감사에서 춘천 도청사 이전 및 행정복합타운, 도시재생혁신지구 등이 도마위에 올랐다.
이날 국감에서 첫번째 질의자로 나선 더불어민주당 이광희(충북 청주 서원구)의원은 “(춘천 행정복합타운 사업을 맡은)강원개발공사는 알펜시아 개발 사업이 실패하면서 막대한 부채를 떠안았고 하루에 이자만 1억원이 넘는 빚더미에 시달렸던 곳이다. 당시 사업비 60%인 1조원 정도를 차입했다가 이런 일을 당했는데 또 똑같은 일이 벌어지는 것은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김진태 강원특별자치도지사는 “제가 인수인계를 받을 때 부채 비율을 700%를 넘었는데 토지 출자도 하고 경영 개선을 이뤄 200% 초반대로 재무 구조를 개선했다”고 답했다.
이에 이 의원은 “도유지였던 농업기술원, 붕어섬, 대관령 풍력단지, 삼천동 부지, 양양 하조대 부지 등을 투자해서 부채비율을 낮춘 것”이라며 “알토란 같은 도유지를 현물 출자해 빚에 허덕이는 공사를 살려놨는데 대규모 공사채를 발행해 사업을 강행한다”고 지적했다.
더불어민주당 권칠승(경기 화성병)의원은 “행정복합타운 아파트 분양 때문에 논란이 있다. (사업 발표 당시) 상업·업무·미디어타운 ‘등’으로 표현했는데 ‘등’자 때문에 가능하다는 주장인가”라고 물었다.
이에 김 지사는 “구체적 계획이 아닌 마스터플랜 과정이었다. 기자회견 당시 대표적 사례를 예시로 든 것이고 공동주택은 아주 자연스러운 요소”라고 말했다.
권 의원은 “국토부에 춘천 캠프페이지 도시재생개발사업 반대 의견 냈는데. 이유가 아파트 때문인가”라며 “행정복합타운에는 아파트가 명기돼있지 않은데 아파트를 짓고 도시재생개발사업엔 왜 반대를 하시나”라고 말했다.
이에 김 지사는 “캠프페이지에 아파트를 지으려 했던 건 작년이었고 국토부에서 선정이 안됐다. 춘천시가 이번에는 아파트를 빼 심사를 받았다”면서 “경북, 충남, 전남 등이 도청을 옮겼을 때 아파트를 4만호씩 지었다. 강원도는 4,000호도 하지말라고 하면 사업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