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민 혈세로 운영되는 강원테크노파크(이하 강원TP)가 수의계약 중 절반 가량을 타지역 업체와 체결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설립 취지를 잃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도의회 경제산업위원회는 지난 7일 도 미래산업국을 대상으로 행정사무감사를 실시한 결과 올 1~10월 강원TP가 진행한 수의계약(236건) 가운데 절반 수준인 112건(47.5%)이 타지 업체와의 계약인 것으로 파악됐다. 도내 업체와의 계약은 124건(52.5%)이었다. 관외·지역 업체 간 계약 건수 차이는 12건에 불과했다.
2003년 설립된 강원TP는 지역산업 진흥을 목표로 한 강원특별자치도 출연기관이다. 현재 '강원특별자치도 중소기업제품 구매촉진 조례'를 따라 도가 출연한 공공기관은 도내에 주된 사무소 소재지를 둔 중소기업자가 직접 생산·제공하는 물품·용역 및 공사를 우선 구매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이에 강원TP 역시 지역업체을 우선 순위에 둬야하지만 관외와의 계약을 다수 진행한 것은 설립 목적과 취지에 반한다는 것이 도의회의 지적이다.
강정호(국민의힘·속초) 의원은 이와 관련, “강원테크노파크의 공사, 용역, 물품 등 계약업무 전반을 면밀히 점검하고,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반드시 도내업체와 계약이 이뤄질 수 있도록 즉시 시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최근 3년간 수의계약 현황을 분석해 도의회에 재보고할 것을 주문했다.
폐광지역개발기금이 사업 효율성을 상실했다는 질타도 있었다. 도가 2001년부터 강원랜드로부터 1조9,600억여원의 폐광기금을 받았다고 강조한 정재웅(더불어민주당·춘천) 의원은 "여전히 폐광지역은 대체산업을 찾지 못해 청년은 일자리를 찾아 떠나고 고령화, 지역소멸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고 피력했다.
이에 기금을 활용한 사업 가운데 부적합하거나 미흡한 사업에 대해 적절한 제재를 취하는 등 도 차원의 행정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