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일보 모바일 구독자 280만
사회일반

[카지노를 말한다](4)폐광지 4개 시·군민 설문조사

폐특법 2015년 이후 연장 ‘될 것’ 57.8% ‘안될 것’ 42.3%

지난해 연매출 1조원을 기록하며 설립 10주년을 맞은 강원랜드.

정작 폐광지역 4개 시·군민들은 강원랜드에 대해 어떤 생각들을 갖고 있을까.

이들은 폐특법의 취지대로 강원랜드로 인해 폐광지역의 경제가 어느 정도 회생됐다고 생각할까.

4개 시·군이나 계층별로 강원랜드에 대한 인식은 어떤 차이를 보일까.

강원일보사는 강원대 김세건(문화인류학과)교수의 자문을 받아 여론조사전문기관인 G&G를 통해 지난달 25일부터 4일간 폐광지역 4개 시·군 주민 각각 100명씩 모두 400명을 대상으로 전화설문조사를 벌였다.

결과는 95% 신뢰수준에서 표본오차는 ±4.9%다.

“시한 연장 이유” 49.8% 지역 경제회생 이뤄지지 않아서

10명 중 3명 가족·이웃 등 주변사람 도박중독 피해사례

▼절반의 성공=우선 강원랜드 설립으로 폐광지역의 경제회생이 어느 정도 되었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2명중 1명이 효과가 있다고 답했다.

5점을 기준으로 1∼10점을 주는 조사에서 49%가 6점 이상의 점수를 줬다.4개 시·군의 평균 점수는 5.36점이었다.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1∼4점을 준 주민도 10명 중 3명꼴인 32%에 달했다.최하 점수인 1점을 준 주민도 10명중 1명꼴인 8%에 달했다.폐광 지역별로 편차를 보인 것도 특이점이다.삼척과 정선은 각각 5.59와 5.55점으로 4개 시·군 평균 5.36점을 상회했지만, 태백과 영월은 5.32점과 4.97점을 기록했다.

특히 영월은 보통이라는 5점 이하의 점수를 줘 강원랜드 설립에 따른 효과를 가장 느끼지 못하고 있는 지역임을 반영했다.

남녀별로 보면 5.37점과 5.35점으로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연령대로 보면 20대가 6.08점으로 가장 높게 평가했으며 30대 5.54점, 60대 이상이 5.40점으로 평균 이상 점수를 준 반면 경제활동이 왕성한 40대와 50대는 각각 5.19점과 5.10점으로 평균이하의 점수를 주었다.

▼지역경기 활성화 상반된 평가=강원랜드 출범 10년이 흐른 지금, 도움이 됐다고 생각하면 어느 분야인가라는 질문에 32.1%가 지역경기 활성화, 29.5%가 지역홍보 및 관광 활성화 29.5%, 일자리 창출을 27.5%로 꼽았다.

하지만 반대로 도움이 안됐다면 주로 어느 분야라는 질문에 56%가 지역경기가 활성화되지 않았다는 점을 가장 많이 지목했다.일자리 창출 효과가 적었다 12.6%, 도박 중독자가 증가했다는 대답은 13%로 나타났다.지역경기 활성화에 대한 지역민의 바람이 높다보니, 평가가 극단적으로 엇갈린 것으로 분석된다.

4개 시·군별로 보면 도움이 됐다면 어느 분야라는 질문에 영월과 정선은 각각 51.4%와 43.1%가 지역경기 활성화를 가장 많이 꼽은 반면 태백은 가장 많은 32.6%가 일자리 창출을, 삼척은 39%가 지역홍보 및 관광 활성화를 가장 많이 꼽아 차이를 보였다.

▼도박중독 피해=본인이나 가족 이웃주민 친구 등 주변사람들의 카지노 도박 중독 사례가 있는지를 물어본 항목에서는 폐광지 4개 시·군 주민들은 10명중 3명이 있다고 답했다.그렇다고 답한 주민들 중 피해 대상은 이웃주민이 68.9%로 가장 많았고 친구 17%, 가족 5.2%, 본인 2.2%였다.본인과 가족을 합치면 7.4%에 달했다.

결국 폐광지 100가구 중 1가구꼴로 직계가족이 카지노 도박 중독으로 피해를 입었다는 계산이 나온다.

지역별로 보면 강원랜드가 위치한 정선지역이 주변 사람들의 도박 중독 사례에 대해 10명중 4명꼴인 39%가 있다고 대답했으며 이어 영월 30%, 태백 27%, 삼척 24% 순으로 나타났다.도박 중독에 빠진 것은 누구의 잘못이냐는 질문에 83.3%는 본인의 잘못이라고 대답했고, 이어 6%가 각각 카지노 운영자인 강원랜드, 사회 모두의 책임이라고 대답했다.카지노를 허가한 정부라는 대답은 3.3%였다.

지역별로 보면 영월주민들이 강원랜드의 잘못이라고 답한 경우는 9%로 가장 낮은 태백의 4%보다 두배 이상 높았다.

▼폐특법 연장 의식=폐광지역민 2명 중 1명은 강원랜드 카지노의 근거인 폐특법 연장시한이 2015년까지로 규정된 사실을 잘 알지 못했다.46.8%가 알고 있다고 답한 반면 53.3%는 모르고 있다고 답했다.

모른다고 답한 경우 시·군별로 보면 영월이 66%로 가장 많았으며 삼척이 55%, 정선 50%, 태백 42%로 가장 낮았다.

남녀의 경우 남자는 41.5%가 모르고 있다고 답한 반면 여자는 68.2%로 훨씬 높았다.연령별로 보면 20대가 62.5%로 가장 높았으며 60대 이상이 59.4%, 40대가 56.3% 순이었다.

폐특법이 2015년 이후에도 연장될 수 있겠느냐는 물음에 그렇다는 대답이 57.8%로, 아니라고 답한 42.3%보다 10% 이상 높았다.

연장될 수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이냐는 질문에 49.8%는 폐광지 경제회생이 이뤄지지 않았다를 들었으며 지역사회의 바람이 높아서라는 대답은 25.1%로 나타났다.연장될 수 없다면 그 이유를 무엇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30.2%가 지역사회에 강원랜드로 인한 부정적 인식이 강하기 때문이라고 대답했고, 이어 28.4%가 타 시·도의 내국인 카지노 개설 요구가 높기 때문이라고 응답했다.

3회까지의 연장은 어렵다고 판단해서라는 대답도 23.7%에 달했다.지역사회와 강원랜드의 대정부 및 국회 대응력이 약해서라는 대답도 17.8%가 나왔다.

지역별로 보면 연장될 수 있다는 이유는 4개 시·군 모두 가장 첫번째 이유로 폐광지역의 경제회생이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대답했다.

하지만 연장되기 어렵다고 답한 경우에는 영월과 삼척은 43.9%, 32.3%가 강원랜드의 부정적 인식이 강해서 연장되기 어렵다고 답한 반면 정선과 태백은 32.7%, 33.3%로 타시·도의 카지노 개설 요구가 높기 때문이란 항목을 가장 많이 지목했다.

끝으로 만약 2015년 이후 강원랜드 내국인 출입 카지노의 독점적 권한이 없어진다면 이를 대체할 산업은 무엇이냐는 질문에 56%가 대규모 고원휴양지 관광산업을 꼽았고 이어 14.5%가 탄광산업 재개발, 9%가 첨단 산업기지 개발이라고 대답했다.

사실상 대안이 없다고 생각한다는 주민도 12.8%에 달했다.지역별로는 강원랜드가 위치한 정선이 21%로 가장 많아 7%의 삼척보다도 3배가량 높았다.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나타낸 것으로 분석된다.

정선=류재일기자 cool@kwnews.co.kr

관련기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