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끝난 강원특별자치도의회 올해 마지막 도정 질문은 시작부터 끝까지 '고은리 행정복합타운'이 중심에 있었다. 3일 간의 일정 중 행정복합타운은 네 차례나 도마에 오르내리며 행정의 정쟁화가 점차 확산되고 있는 모양새다.
도의회 제341회 임시회 제3차 도정 및 교육행정 질문 마지막날인 22일 김기홍(국민의힘·원주) 의원은 "혁신도시 조성 이후 빚어진 원도심 공동화 현상에 원주시는 주체성을 갖고 직접 해결점을 모색했다"며 "춘천시도 원주처럼 주체적으로 대응하고 강원도는 도의적으로 도와주는 방향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대규모 공동주택 건설을 우려하는 춘천시에 대해 김 의원은 "원주시는 주택공급으로 원도심이 재개발되고 인구가 유입되는 선순환이 이뤄지고 있다"며 "춘천시는 2030년 인구 42만명을 꿈꾼다면 수부도시 답게 고은리 주택 공급에 대해 보다 큰 의지를 갖고 접근해야 한다"고 밝혔다. 사업 부지 타 시·군 이전 검토 가능성에 대한 김 의원 질문에 여중협 부지사는 "민선 8기에서 현재 상황으로 결론이 났기 때문에 현 계획으로 추진하는 게 맞다고 본다"고 답했다.
도정 질문 첫날 이지영(더불어민주당·비례)·박대현(국민의힘·화천) 의원이, 둘째날 이승진(더불어민주당·비례) 의원이, 마지막 날 김기홍 의원까지 3일에 거쳐 행정복합타운 문제는 본회의장에서 4차례나 다뤄지면서 강원특별법, 의료취약지 정책 등 주요 이슈는 비교적 주목받지 못했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더욱이 여야 의원 2명씩 행정복합타운 질타·옹호를 주고받자 행정 문제의 정쟁화가 표면화됐다는 시각도 있다.

한편 도의회가 제안한 '행정복합타운 추진 협의회'는 이날 세미나실에서 첫 회의를 개최했다. 도, 강원개발공사, 정경옥(국민의힘) 춘천시의원이 참석한 반면 춘천시와 시민단체, 민주당 춘천시의원은 불참하면서 의견 조율은 이뤄지지 않았다. 협의회 구성 시까지 박관희(국민의힘·춘천) 의원이 임시 협의회장을 맡기로 했다.
김시성 도의장은 "협의체가 도청 이전과 행정복합타운 조성의 합리적인 대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조정자 역할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