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일보 모바일 구독자 290만
정치일반

강원 화장시설 보유-미보유 지역간 이용료 격차 '10배 육박'

강원도의회 사회문화위원회 복지보건국 행정사무감사
도내 보유지역 8곳 불과…미보유 주민 이동 서비스 이용
춘천주민 7만원·타 지역주민 70만원 지불 부담 10배

◇강원특별자치도의회 사회문화위원회는 10일 위원회 회의실에서 도 복지보건국을 대상으로 행정사무감사를 실시했다.

강원지역 내 화장(火葬)시설 보유-미보유 시·군간 이용료 격차가 10배에 달해 형평성 확보를 위한 도 차원의 제도 정비 필요성이 제기됐다.

강원특별자치도의회 사회문화위원회가 10일 도 복지보건국 행정사무감사를 실시했다. 도가 도의회에 제출한 행감 자료에 따르면 도내 18개 시·군 중 화장시설을 보유한 곳은 춘천, 원주, 강릉, 동해, 속초, 태백, 정선, 인제 등 8곳에 불과했다.

◇강원지역 내 화장시설 보유-비보유 지역민 간 이용료 차이.

더 큰 문제는 화장시설 보유-미보유 지역간 이용료 격차가 크다는 점이다. 일례로 춘천 안식원의 경우 일반(대인) 기준 주민의 이용료는 7만원인데 반해 타 지역민은 70만원으로 10배의 차이가 있었다. 원주추모공원은 지역민 10만원, 타 지역민 90만원이었다.

이외에도 동해삼척 공동화장장(승화원)은 지역민 10만원, 타 지역민 60만원 등 최소 6배에서 많게는 10배의 경제 부담 격차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박호윤(국민의힘·강릉) 의원은 "화장장이 없는 지역민의 부담을 덜어주고 지역 간 형평성을 확보할 수 있는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방의료원 운영에 대한 질타도 이어졌다. 특히 직영 장례식장 부당 운영에 대한 의혹이 제기돼 도는 전수조사 시행을 예고하기도 했다.

강릉의료원 장례식장 직영 건수가 사실상 전무하다고 지적한 조성운(국민의힘·삼척) 의원은 "장의용품 매출 비중도 1.7%에 불과하다. 공공의료기관의 투명성과 책임성이 심각하게 훼손된 사례"라고 했다. 이어 "속초의료원의 경우 장의용품 판매금액이 타 의료원보다 높지만 장례식장 매출 대비 순이익은 절반에도 못 미친다"고 주장했다.

이에 보건복지국은 이달 중 강릉·속초의료원 장례식장에 대한 자체 감사를 실시하고, 내년에는 5개 의료원 장례식장 운영에 대한 전수조사를 약속했다.

이와 함께 박기영(국민의힘·춘천) 의원은 “속초의료원 의료진 및 간호인력의 이탈률이 도내 타 의료원에 비해 월등히 높다”며 관리 소홀을 질타했다.

이승진(더불어민주당·비례) 의원은 산부인과 및 소아청소년과 의료 인프라 부족 문제를 지적했다.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