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춘천도시공사 조직은 '비대'
1인당 매출은 전국의 '절반'
대행사업 수입 비중 27.3%
인사적체 해소용 악용 심각
춘천시가 지난해 말 산하 지방공기업인 춘천도시공사에 대해 외부 전문기관인 지방공기업평가원을 통해 경영진단을 벌인 결과 공기업 운영의 폐해가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용역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춘천도시공사의 2013년도 1인당 매출액은 9억5,400만원으로 전국의 공사 평균액인 18억1,700만원의 절반에 불과할 정도로 생산성이 낮았다. 하지만 조직은 사장에 상임이사까지 두고 경영사업본부와 관리본부 등 2본부 체제로 구성되는 등 '비대한' 조직을 갖고 있었다. 더욱이 유료 주차장 요금이나 관광지 입장료 징수 등의 단순 관리업무를 하던 '시설관리공단'에서 도시개발사업까지 하며 '도시공사'로 몸집을 키웠지만 덩치에 걸맞은 사업 다각화에는 한계가 있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시의 일부 토목공사를 대행하며 수수료를 챙기는 식의 사업까지 이뤄졌다. 일종의 지자체 '일감 몰아주기'인 셈이다.
춘천도시공사의 지난해 예산 규모는 436억원이었는데 '대행사업의 수입' 비중이 전체의 27.3%인 119억원에 달한 것이 이 같은 실태를 보여준다. 또 공사 설립 뒤 3년간 2명의 사장을 선임했는데, 2명 모두 부시장이나 시 건설국장 출신이었다. 본부급은 시 국장급의 파견 자리로, 지자체의 인사적체 해소용으로 악용된데다 수개월 만에 바뀌는 등 책임 업무와는 거리가 멀었다는 지적이다. 권용범 춘천경실련 사무처장은 “사실상 지방공기업의 자기사람 심기 행태였다”며 “설립 당시부터 27만명의 도시에서 도시공사 설립은 적합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류재일기자 cool@kwnews.co.kr